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목적은 묵가(墨家)의 ‘자기 수양 self-cultivation’론이 지닌 구조와 내용을 설명하는 것이다. 종래의 통설에 따르면, 묵가는 인간의 도덕적 진보가 그저 도덕적 교설doctrine에 대한 이지적 논변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통행본 묵자의46편에서 50편에 이르는 소위 ‘대화편’들에는 분명 자기 수양에 대한 묵가 나름의 인식과방법이 산발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묵가는 통상적으로 논변을 통한 교육이 인간으로 하여금 의(義)를 거스르는 행위를 하지 않게 만들어준다고 말하지만, 의(義)에 대한 앎이 의(義)에 부합하는 행동으로 곧바로연속되지만은 않는다는 사실을 자각하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묵가는 의(義)의 실천을 부단히 반복하여 사욕을 제거하는 자기 수양론을 구상했다. 묵가에게 있어 ‘의(義)를 행함’이란, 능력에 따라 성립된 정치ㆍ사회적분업 체계 내에서 자신에게 부여된 직무에 헌신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자기 수양론은 사(士) 계층 일반을 그 대상으로 제기된 것이었다. 묵가는 전적이나 언설의 연구를 통해 의(義)의 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천하의 권력자들과 다른사(士)들에게 알려주는 것을 자신들의 책무로 보았다. 독서를 통해 의(義)를 이해하고 유세를 통해 의(義)를 가르쳐서 종국에는 천하를 의롭게 만드는 것이 그들의 정치ㆍ사회적직분이었고, 여기에 충실한 것이 바로 묵가적 자기 수양이다. 묵가는 정치ㆍ사회적 영역에서의 적절한 행위 그 자체를 자기 수양으로 보는 고유한 자기 수양론을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plain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Mohist’s self-cultivation theory. In the conventional view, Mohists surmised that the moral progress of humans can succeed only through a reasonable argument about moral doctrine. However, Mohist’s own view and method of self-cultivation are sporadically presented in so-called ‘analects’ of Mozi’s chapters 46 to 50. Mohists usually say education by way of an argument can make humans take no action that violates righteousness, but they were also aware of the fact that knowledge of righteousness does not directly continue to righteous action. To solve this problem, Mohists designed a theory of self-cultivation that eliminates private desire by ceaselessly repeating the practice of righteousness. For Mohists, the practice of righteousness means devotion to one’s own duty, which is granted in a meritocratic political, socially specialized system. This theory of self-cultivation considered shi stratum as the main target. Mohists’ thoughts understand the contents of righteousness by researching classics or saying and teaching these to power holders of the world and other shi as their duty. Making the world rightful by understanding righteousness through reading books and teaching righteousness through campaigns was their duty, and devoting to this duty is Mohist’s way of self-cultivation. Mohists had their own theory of self-cultivation that identifies appropriate action in the political and social sphere itself as self-cult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