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KOICA 경력사다리에서 제시한 세부 경력선호도를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단계별 선호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협력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인력양성 및 일자리 정책을 위한 생태계 조성 관련 논의가 활성화되고 있으나, 경력사다리 제도가 도입된 지 4년이 지난 지금 구직자들이 이해하는 경력사다리와 그에대한 선호도를 단계별로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경력사다리에 대한 선호도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한 본 연구는 경력사다리 구성의 체계화, ODA 인재의 양성 그리고 국제개발협력 구직자의 경력개발 경로 인식과 선택에 도움을줄 것이다. 경력별 선호도를 산출하기 위해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AHP 분석을 시행하였고 선호도 평균값 비교분석, 단계 간 선호도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경력사다리 단계별로 경력 간의 선호도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응답자의개인적 특성에 따라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선호도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경력사다리 단계 간 선호도 관계 분석 결과 KOICA 취업과 국제기구 진출을원하는 대학생이 1-2 단계에서 각각 선호할 가능성이 큰 경력의 차이를 확인할 수있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개발협력과 ODA 생태계에 대한 인지도 제고를 위한 계획이 필요하며 1-2 단계 경력 선호도가 3단계 경력 선호도와 서로 연결이 되어있다는 점에서 더욱 전략적인 경력개발 지원전략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in each level of Career Ladder preference based on the results of career preference survey with 100 university students, and intends to bring the implications for creating development cooperation ecosystem. The study helps systematize the constitution of career ladder, ODA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support job seekers’ career development paths. This study employs AHP analysi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o produce the career ladder preference for each level, and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preference average and preferenc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dentifies the preference within each level of Career Ladder and find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ference depending on individuals’ characteristics.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levels, university students, who would like to work at KOICA and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ve different career preferences in the Level 1 and 2, respectively. As career preferences in Level 1-2 are interconnected with the Level 3 preference, a career development plan is strategically required to raise the awareness of ODA ecosystem and development co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