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상대적 분포분석을 응용하여 2016~2021년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로부터 코로나19 재난 시기 청년 근로자의 임금분포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점 간 임금분포 분석결과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청년 근로자들에게서 전반적인 소득감소와 같은 부정적 충격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하위계층의 양극화 심화 현상이 전반적인 양극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점 내 임금분포를 살펴보면 청년 근로자들 사이에서 성별, 사업체 규모별, 학력별 임금격차가 크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각 그룹 내에서의 양극화 현상은 남성, 대기업, 대졸 이상 집단에서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양극화는 각 그룹의 저임금 근로자들이 전반적으로 더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시기 청년들의 모험과 도전을 위한 정책 마련의 필요성과 더불어 코로나19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층의 양극화 및 임금불평등 해소를 위한 다양한 연구와 정책적 논의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age distribution of young workers during the COVID-19 disaster from the 2016~2021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EAPS) data by applying relative distribution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wages between time points, there was no negative impact such as overall decrease in overall income among young workers in spite of COVID-19. We find that the deepening of polarization in the lower classes contributed to the overall polariza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wage distribution within a time perio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arge wage gap among young workers by gender, company size, and educational background, while the polarization within each group was more severe among men, large corporations, and those with a college degree or higher. This polarization is found to be largely contributed by low-wage workers in each group overall.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preparing policies for adventures and challenges of youth in times of disaster such as COVID-19, as well as various studies and policy discussions to resolve the polarization and income inequality of young people living in the era of COVID-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