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원간본 『시경언해』(「권 11」~「권 20」) (1613)에 실린 국어 한자음의 반영 양상을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고 각 유형에 속하는 개별 한자음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시경언해』에 실린 한자음 속에는 중세 국어 한자음에서 보이지 않았던 새로운 한자음이 많고, 중세 국어 한자음과는 차이를 보이는 것이 많다. 수적으로 중고 한음과 중세 국어 한자음과의 통상적 대응 양상에 맞는 음인 경우가 월등하였으나 이로써 설명하기 어려운 것도 적지 않다. 이처럼 대개의 음이 중고 한어와 중세 국어 사이의 통상적 대응 관계에 부합하는 것은 경전으로서 지닌 『시경』의 위치를 감안할 때 일찍이 형성된 독법을 충실히 유지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광운』과 『『집운』으로는 근거를 찾기가 어려운 음도 꽤 보이는데 이들도 다른 전적에 실린 음운 정보로 이해되는 것이 대다수이며, 이에는 근대 한음적 층위를 보이는 것이 꽤 있다. 한자음들은 단일음자와 복수음자 모두에서 해당 한자가 쓰인 『시경』 구절의 의미를 생각할 때, 본래의 음과 의미 사이의 대응 관계에 부합하는 것이 대다수였다. 하지만 이에 걸맞지 않은 것도 꽤 보였는데, 이들은 단일음자의 경우는 성부 또는 형성자에 유추된 음이 제시된 양상이 보이며, 복수음자의 경우는 성부 또는 형성자에 유추된 음이 보이는 것과 더불어 각 음에 대응하는 의미가 지닌 유사성에 의해서 음이 서로 통하여 쓰이게 되었거나 단순화된 것을 반영한 모습이 보인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examine the reflection patterns of Sino-Korean in the first edition, Sigyeongeonhae(Volume 11~20) (1613), housed in Kyujanggak,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ino-Korean belonging to each pattern. As a result, I could see that there were many new Sino-Korean that were not seen in the Sino-Korean of the Middle-Korean period, and that there were many differences from the Sino-Korean seen in the Middle-Korean period. Among these Sino-Korean, there were far more cases in number that matched the usual response pattern between used Middle-Chinese and Middle Sino-Korean. However, there are many things that are difficult to explai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variety of Sino-Korean appears. In this article, the discussion was developed by paying attention to only Sino-Korean that were not seen in the previous data. The fact that most of the Sino-Korean in Volume 11~20 are suitable for the usual correspondence between Middle-Chinese and Middle Sino-Korean are considered to be the result of faithfully maintaining the early form of reading, given the position of the scriptures. The results of this review show that it is generally based on Middle-Chinese. However, some of the things that are difficult to find a negative basis with Gwangyun(廣韻) and Jiyun(集韻) are also observed, and many of them can be understood as information contained in other records. And among them, quite a few of them seem to reflect the Modern Chinese hierarchy. Among the Sino-Korean that appeared in this way, when considering the meaning of the phrase of Sigyeong in which the Chinese character was written in both single and plural Sino-Korean, most of them were presented that matched the meaning of the original connection relationship. However, some things did not match this. In the case of single Sino-Korean, the sound inferred from sound indicator or molder is presented. In the case of plural Sino-Korean, the sounds are the same as each other or simplified by the similarity of the meaning corresponding to each sound. In addition, Sino-Korean appears formed by analogy to sound indicator or m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