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음운론적인 현상과 형태론적인 현상으로 나누어‘하-’와 관련된 어형들에 대하여 방언학적인 검토를 진행하는 것이다. 먼저, ‘하-’와 관련된 어형들의 방언음운사를 살펴본다. 첫째, ‘’는 크게 ‘하’와 ‘허’로 분화하는데, 이 변화는 별개의 방언이 아니라 한 방언 안에서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이 ‘하’와 ‘허’ 사이에 일어난 경쟁의 결과가 현재의 방언 분포 상태를 말해 준다. 둘째, ‘하-아’는 ‘하야>해아, 허여>헤어’의 변화를 거쳐 ‘애아, 에어’의 ‘아/어’가 탈락하느냐, ‘애/에’가 반모음화하느냐에 따라 ‘해, (헤) ; 햐, 혀’의 방언 분화를 보인다. 그리고 ‘하-아X’도‘하야X>해아X, 허여X>헤어X’의 변화를 거쳐 주로‘애아, 에어’의‘아/어’ 가 탈락하는 변화를 겪어 ‘해X, 헤X(>히X)’의 방언 분화를 보인다. 다음으로, ‘하-’와 관련된 어형들의 방언형태사를 살펴본다. 첫째, ‘무성말음어근+하다’의 경우에는 ‘같-’를 제외하면 대체로 본디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같-’의 경우에도 모음어미(-아서)가 결합할 때에는꽤 넓은 방언에서 여전히 ‘하-’의 불규칙 활용을 고수하고 있다. 둘째, ‘유성말음어근+하다’의 경우에는 어간의 재구조화 여부에 따라 방언 분화가 이루어진다. 특히 전남방언을 중심으로 본디형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매우강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arry out a dialectical research on the word forms related to ‘hada’ by dividing them into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nges. First, let’s look at the dialectical phonological history of words related to ‘hada’; (1) /hʌ/ is largely differentiated into /ha/ and /hə/, which is highly likely to be a change within the same dialect, not different dialects. And the result of this competition between /ha/ and /hə/ tells the current state of distribution of dialects. (2) ‘ha-a’ goes through the change of /haja>hɛa, həjə>heə/. And depending on whether the /a, ə/ of /ɛa, eə/ is dropped or /ɛ, e/ is semivowelized, it shows the dialectal differentiation of /hɛ, (he) ; hja, hjə/. And ‘ha-aX’ also goes through the change of /hajaX>hɛaX, həjəX>heəX/ and mainly /a, ə/ of /ɛa, eə/ is dropped, so it shows the dialectal differentiation of /hɛX, heX(>hiX)/. Next, let’s look at the dialectical morphological history of words related to ‘hada’; (1) In the case of ‘unvoiced root-final + hada’, except for ‘gath-’, the original form is generally maintained. However, even in the case of ‘gath -’, when the vowel-initial endings (-aseo) are combined, it still maintains the irregular conjugation of ‘hada’ in a fairly wide dialect. (2) In the case of ‘voiced root-final + hada’, dialectal differentiation is made depending on whether the stem is restructured or not. Especially in the Jeonnam dialect, the tendency to maintain the original form is very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