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의사소통 영역과 관련하여 미디어텍스트 수용자의 인지 환경을 파악하기 위한 질적 논의라 할 수 있다. 올바른 미디어텍스트 속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일반적인 의사소통 전략인 Grice(1975)의 ‘협력의 원리’에 문제를 제기하고 Sperber & Wilson(1986)의 ‘관련성의 이론’을 접목시켰다. 이 이론은 미디어텍스트 수용자마다 동일한 배경지식을 가졌다하더라도 스스로 최적의 심적 표상을 구축하기 위해 각자 다른 표현의 노력을 하게 된다는 점에서 독립적인 인간의 인지환경과 매우 밀접한 이론임을 발견하였다. 미디어가 가진 현대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개별적인 스키마에 의해 새로운 정보 도출, 개념적 지식 습득, 언어 표현 창출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미디어텍스트 제작이 성공적이기 위해선 제작자가 미디어텍스트 수용자의 인지환경 검출 시스템과 현대사회의 문화적 흐름 분석에 최우선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본 학술적 논의가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is article can be said to be a qualitative discussion to understand the cognitive environment of media text recipients in relation to the communication area. In order to analyze the meaning in the correct media text, we question the general communication strategy, Grace (1975)'s 'principle of cooperation', and incorporate Spurber & Wilson's (1986) 'theory of relevance'. This theory was found to be very close to the independent human cognitive environment in that even if each recipient of the media text had the same background knowledge, they made different expression efforts to build the optimal mental representation on their own. It was found tha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society of the media can be confirmed by individual schemas to derive new information, acquire conceptual knowledge, and create language expressions. In order for media text production to be successful, producers should pay top priority to the detection system of the cognitive environment of media text recipients and the analysis of cultural trends in modern society. I hope that this academic discussion will be helpful in practical asp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