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의 목적은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삶의 가치관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외상과 자아탄력성의 관계를 규명하고, 심리적 외상과 삶의 가치관 간의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학교 밖 청소년 이행경로에 따른 맞춤형 대책연구 Ⅱ(이하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의 2017년(5차년도) 패널자료로서, 318명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 삶의 가치관의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리적 외상경험은 자아탄력성과 삶의 가치관에 부적관련성을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은 삶의 가치관에 정적 관련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심리적외상과 자아탄력성은 삶의 가치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을 매개변수로 삶의 가치관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trauma and ego-resiliency, two of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life values of school drop-out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go-resiliency connecting psychological trauma and life values. The analysis data of this study were panel data from 2017(5th year) of the “Customized Measures for the Paths Taken by Out-of-School Youths II (hereinafter the “Panel Survey on School Drop-out Adolescents)”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and 318 people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correlations between respective variables and ego-resiliency and life values displayed statistical significance; where the psychological trauma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go-resiliency and life values, and ego-resilien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values; and 2. Psychological trauma and ego-resiliency had a direct influence on life values, whereas it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life values when ego-resiliency was the parame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