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의 목적은 박용래 시에 나타난 토포스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토포스는 공간의 의미를 포섭한 ‘장소’의 개념이다. 박용래의 시를 통해 문학적 의미로서의 토포스를 해명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다. 박용래는 고향의 장소와 자연물과 가옥들을 주로 시의 소재로 삼았다. 시의 장소는 화자와 시적 대상을 연결하는 정서적 매개체로 역할을 한다. 박용래의 시는 사적 관계를 시적 대상으로 삼고 이런 경험을 통해 당시 공동체의 보편적 경험을 환기하고 있다. 본고는 토포스를 통해 박용래의 시를 새롭게 바라보고자 한다. 첫 번째 박용래의 토포스는 로컬 서사의 특성을 지닌다. 박용래가 선택한 로컬의 지명은 박용래 시세계의 근원과 연결된다. 박용래의 시는 본질을 지향하는 상징체계 속에 있다. 박용래의 시는 농촌 공동체의 소재를 표면구조로 감싸 안고, 내면구조에는 인간의 원형적 상징을 숨겨놓는 방식을 택한다. 두 번째 박용래의 토포스는 기억의 토포스이다. 박용래의 시는 대부분 기억에서 출발한다. 기억을 소환하는 주체는 시속에서 사건의 주체가 된다. 사건의 주체로 기억을 소환하여 소수성, 주변성 등을 확립한다. 박용래 토포스는 주체가 바라보는 장소를 통해 가시적으로 드러난다. 본고는 박용래의 토포스가 소재의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고, 이상적인 장소를 고향으로 삼는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즉 토포스가 주체의 세계관과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것을 해명하기 위해 로컬 서사라는 개념어를 통해 이미지 공동체를 해석하고, 기억의 관점에서 이미지의 주체를 해석하였다. 즉 장소, 주체, 이미지를 연결시키는 것이 본고의 특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opos in Park Yong-rae's poetry. Topos is the concept of ‘place’ that embraces the meaning of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opos as a literary meaning through Park Yong-rae's poetry. Park Yong-rae mainly used the places of his hometown, natural objects, and houses as the subject matter of his poetry. The place of the poem acts as an emotional medium that connects the speaker and the poetic object. Park Yong-rae's poetry uses private relationships as poetic objects, and through these experiences, he evokes the universal experience of the community at the time. This study intends to take a fresh look at Park Yong-rae's topos. The first Park Yong-rae's topos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local narrative. The local name is connected to the origin of Park Yong-rae's poetry. Park Yong-rae's poetry is in a symbol system that aims for the essence. Park Yong-rae's poetry embraces the material of rural communities with its surface structure. In the inner structure, a method of hiding the human archetypal symbol is chosen. The second Park Yong-rae's topos is the topos of memory. Most of Park Yong-rae's poems start from memory. The subject that summons the memory becomes the subject of the event. By summoning memory as the subject of the event, minority and marginality are established. The topos is visually revealed through the place the subject looks at.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Park Yong-rae's topos does not stop at the level of material, but takes an ideal place as his hometown. The topos is connected with the subject's worldview. To explain this, the image community was interpreted through the concept of local narrative. The subject of the image was interpre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memory. In other words, it is the characteristic of this paper to connect place, subject, and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