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생태시를 활용한 대학 생태문학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여 대학생들에게 생태환경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전제로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과 생태시 교육 연구 검토를 통해 초중등학교의 생태문학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사라진 생태 환경 교육에 대한 내용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다시 등장하였지만, 성취기준이나 교육 목표 차원으로 제시되지 않았다는 한계를 드러냈다. ‘공동체’가 직면한 여러 가지 문제 중 하나로 생태 환경 문제를 예시하고 있다. 생태 환경 주제를 다룬 작품의 읽기를 교육의 출발점으로 삼아 생태 의식이나 소양을 기른다는 교육 방식이 국어과의 여러 과목에서 반복적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학생들이 생태시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것에서 출발하는 교육 방법으로 진행되다보니, 생태 환경 문제에 대해 주목하는 활동은 문학적 교육 목표를 달성한 뒤 심화 활동으로 제시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생태시가 지닌 문학적 가치와 함께 생태 의식, 생태 감수성, 생태 소양을 기르는 데 적합한 교육적 가치에 주목하여 생태시를 문학교육에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수행되기도 하였다. 대학 생태문학교육은 생태 문학의 고유한 특성을 근거로, 문학교육뿐만 아니라 환경교육, 생태교육과의 접점을 갖는 융복합 교과로서의 차별점을 갖게 될 것이다. 초중등 교육에서 문학 중심의 생태교육이 이루어지는 것과 다르게 대학에서는 생태주의에 중점을 두고 보다 다양한 주제와 형식을 가진 생태시를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심층 생태주의뿐만 아니라 사회 생태주의까지 보다 확장된 범주의 생태교육이 가능하다. 대학 생태문학교육에서는 문학 작품 감상을 중심으로 한 문학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대학 전공을 기반으로 융복합 교육과 매체 교육 역시 가능하다.


This study aims to lay a foundation to implement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for students by seeking direction for ecological literature education in universities using ecological poetry. As a premise for this, the current status of ecological literatur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as identified through an analysi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s and a review of ecological education research. Although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contents, which disappear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appear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limitations were revealed as it was not presented as an achievement standard or educational goal. As one of various problems faced by the 'community', ecological environment problems were exemplified. Educational methods that start with reading works on ecological environment topics and move onto an understanding of problem situations and a cultivation of actively participative attitudes for problem solving have repeatedly been presented in subjects with the search word "ecology." As they are conducted using educational methods that start with students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ecological poetry, most of the activities focusing on ecological environment problems are presented as in-depth activities conducted after achieving literary educational goals. At this, studies were conducted to use ecological poetry for literary education by focusing on educational values suitable for cultivating ecological consciousness, ecological sensitivity, and ecological knowledge along with the literary values of ecological poetry.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literature, ecological literature education of university will be differentiated as a convergent subject that has contact with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education as well as literary education. Unlike literature-oriented ecologic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universities can focus on ecologism and utilize ecological poetry with more diverse themes and forms. Through this, expansions can be made, not only in in-depth ecologism, but also in social ecologism. Ecological literature education of university can move away from literary education methods centered on appreciating literary works and provide convergent education and media education based on university maj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