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을 거쳐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정서적 자기노출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하였다. 대한민국 소방공무원 22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SPSS 및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집단이 더 높은 외상 후 성장을 보였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과 외상 후 성장 사이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넷째,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적 자기노출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서인식명확성이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적 자기노출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에게 적합한 심리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self-disclosure throug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in firefighters. Participants consisted of 220 firefighters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it was analyzed by SPSS, PROCESS Macro. The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with experience in mental health services demonstrated higher posttraumatic growth. Seco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 and emotional clarity. Thir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Forth, emotional self-disclosur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Lastly, emotional self-disclosure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Based on the result, we will be able to develop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for firefigh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