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蘇軾·蘇轍로 대표되는 蜀學과 胡宏으로 대표되는 湖湘學 사이의 본성론에 관한 유사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다만 이 유사성은 주희에 의해 처음으로 제기되었고, 이후 연구사에서 본격적으로 연구된 적이 없는 주제이다. 따라서 주희의 관점을 따라 유사성의 구체적인 내용을 재구성해보고자 한다. 『맹자집주』·『맹자혹문』·『주자어류』의 주희 발언을 검토하면 이 유사성에 관한 3가지 논점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주역』의 “一陰一陽之謂道” 해석에 근거한 형이상과 형이하의 구도, 둘째 『중용』의 ‘未發‧已發’ 해석에 근거한 본성과 마음의 구도, 셋째 ‘道’와 ‘名’에 관한 노자 철학과의 관련성이다. 이 논점을 따라 촉학과 호상학 사이의 본성론을 비교해보면 그들의 유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陰陽’ 자체에 주목하여 형이상의 道를 해석한다. 촉학은 음양이 아직 발동하지 않은 고요한 상태에 주목한다면, 호상학은 음양이 짝으로 이루어진 형식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촉학과 호상학은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음양’ 자체를 모든 변화작용과 현상사물을 낳을 수 있는 세계의 본체로 상정하여, 세계를 형이상과 형이하의 구도로 구분한다. 둘째 ‘음양’의 道를 인간의 심성에 유비하여 본성 개념을 정립한다. 본성은 희로애락과 같은 현상작용이 아직 드러나지 않은[未發] 형이상의 영역이라면, 마음은 현상작용이 이미 드러난[已發] 형이하의 영역이다. ‘善’·‘惡’ 또는 ‘仁’·‘不仁’은 마음의 영역에서만 성립할 수 있으므로, 본성을 ‘善惡’이나 ‘仁義禮智’로 규정할 수 없다. 셋째, 이러한 본성의 정립 방식은 ‘道’와 ‘名’으로 세계를 설명하는 노자 철학과 관련된다. ‘道’와 ‘名’을 통해 세계를 형이상과 형이하로 구분하고, 본성과 仁을 각각 형이상과 형이하의 영역에 정초하는 사유 방식은 노자에게서 그 원형이 보인다.


Zhu Xi was the first person to clarify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heory of human nature claimed by the two Su brothers, Shi and Zhe, and that by the Huxiang School, with Hu Hong as a representative figure. This paper, by analyzing Zhu Xi’s criticism, reconstitues the resemblances between the philosophy of the two Su brothers and the Hu’s. Three similarities are discovered as follows: First, concerning “yi yin yi yang zhi wei dao(一陰一陽之謂道)” in the Book of Changes, both Su and Hu interpret ‘yin’ and ‘yang’ as the metaphysical dao(way). Second, both Su and Hu explain ‘yin’ and ‘yang’, i.e., dao, by relating it to Zhongyong’s weifa(未發). By doing so, Su and Hu define human nature and heart-mind in a twofold structure of ‘metaphysics(weifa) - physics(yifa)’. Last but not least, Su and Hu’s such way of defining human nature has been largely influenced by Laozi’s thinking that ‘Named’ is deduced from the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