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품사 통용에 대해서는 최근 비판적인 견해가 적지 않았다. 그러나 여전히 품사통용을 상정하는 논의가 적지 않고 이는 특히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지지를 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품사 통용의 문제를 범주의 측면으로 확대하기 위해먼저 Aarts(2004)에서 제시된 범주의 ‘정도성(gradience)’에 주목하였다. 이때 정도성은 하나의 범주에서 그 범주의 속성을 어느 정도 가지는지를 관심 대상으로삼는 ‘범주 내 정도성(Subsective Gradience: SG)’과 하나의 형식이 서로 다른 범주의 속성을 가지는 ‘범주 간 정도성(Intersective Gradience: IG)’으로 나뉜다. 이에 따르면 품사 통용은 범주 간 정도성의 한 부류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품사 통용을 범주 통용으로 확대하는 것이 가능한데 품사 통용처럼 한 범주의 하위 부류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통용은 ‘비교차 범주 통용’, 상위 범주가 교차하는 통용은 ‘교차 범주 통용’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한국어에 적용한다면 비교차 범주 통용에는 품사 통용을 비롯하여 조사 통용, 어미 통용, 접사 통용등을 상정할 수 있다. 한편 교차 범주 통용으로는 단어와 접사 통용을 비롯하여 품사와 문장 성분의 통용도 그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범주 통용의 관점은 정도성의측면에서 예외적인 예들을 다른 범주로 적극적으로 인정하게 해 준다는 점에서오히려 해당 범주의 정체성을 일관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As for the conversion of parts of speech, there have been many critical views. However, including cognitive linguistics, there have been still many researches supporting the conversion. In this paper, in order to look at the conversion of parts of speech from the perspective of categories, I paid attention to the ‘gradience’ of the category presented in Aarts(2004). At this point, ‘gradience’ has two sub-categories again, and one is ‘Subsective Gradience(SG)’ which takes interest in the degree to which a category has its attributes and another is ‘Intersective Gradience(IG)’ which a form has different subcategories of attributes. According to this, the conversion of parts of speech can be seen as a kind of IG and extended to other categories. Therefore, the conversion among subcategories of a category can be called ‘conversion of uncrossed category’ and the conversion among uppercategories can be called ‘conversion of crossed category’. If this discussion is applied to Korean, for ‘conversion of uncrossed category’, it is possible to assume ‘conversion of Josa ’, ‘conversion of endings’, and ‘conversion of affixes’, etc. including ‘conversion of parts of speech’. For ‘conversion of crossed category’, it is also possible to assume ‘conversion between words and affixes’ and ‘conversion between parts of speech and sentence constituents’,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