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국어 운율의 변천과 발달을 다루었다. 국어는 음조의 변별성 여부에 따라서 성조방언, 비성조방언으로 나눌 수 있는데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이 둘을 관련시키지 않고 따로 연구하여 왔다. 이렇게 함으로써 있을 수 있는 공통점을 파악할 수 없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기존의 연구를 통합적으로 파악하여 현대국어의 각 방언의 운율체계가 그 이전에 있던 운율체계에서 발달되어 온 것임을 보이고자 한다. 제1장에서는 중세국어의 언어는 중부방언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함경방언을 나타낸 것이라는 주장이 있어서 이를 간략히 소개하고 이러한 문제를 검토하기 위하여 역사언어학적 관점에서 중세국어와 현대방언을 종합하여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2장에서는 비성조방언과 성조방언에서 나타나는 운율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고자 하였는데, 기존 연구를 인용하여 비성조방언도 성조방언과 마찬가지로 LH..., HH..., H̅L... 등의 음조를 가지고 있음을 보였으며, 다만 이들 음조형을 지니는 어사들은 어두 자음 또는 모음의 장단에 의해 정해지는 비변별적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HH...형은 함경방언에서만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통해서 함경방언이 독자적인 발달을 한 방언임을 보였다. 제3장에서는 중세국어의 성조가 현대 여러 방언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논의하였는데 지금까지 경상방언 평성형 어절에서 높낮이가 서로 바뀌었다는 주장에 대해서, 후속하는 음절의 H가 한 음절씩 앞으로 옮겨졌다는 주장을 하였으며 이것을 예기발음 현상으로 보았다. 그리고 HH로 시작하는 거성형 어절은 변함없이 그대로 실현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중세국어의 성조는 당시의 중부방언을 반영하는 것이며, 그것이 역사언어학적으로 인근 언어에서도 볼 수 있는 보편적인 언어 변화를 겪으면서 현대 여러 방언의 성조체계나 음조체계로 발달하였음을 주장하였다.


In this article, the evolution of Korean prosody is surveyed. Dialects of Korean language can be classified into tonal and non-tonal dialect based on whether or not the tones are distinctive. It is impossible to identify common components of Korean prosody if different dialects are discussed separately. By referencing other studies, I hope to explain in this article how the prosody (tone or pitch) of diverse dialects has universally evolved from earlier language systems. In Chapter 1, I introduced the newly proposed hypothesis by Prof. Choe that Middle Korean reflects the Hamgyeong dialect rather than the Central one. To examine these issues, I argue tha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Middle Korean and Modern dialect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linguistics is required. In Chapter 2, I made an effort to highlight the similarities and variations between the prosody found in tonal and non-tonal dialects. The LH..., HH..., and H̅L... tones were demonstrated to exist in non-tonal dialects as well as in tonal ones, but these tone patterns were non-distinctive because they are determined by the initial consonants or vowels. Only the Hamgyeong dialect lacks a tone type beginning with HH,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it developed independently. Chapter 3 discusses the tones of Middle Korean in relation to other contemporary tonal dialects. In response to the common assertion that the pitch changed drastically from H to L and vice versa in the Gyeongsang dialect, I argued that the H in the following syllable was advanced by one syllable due to anticipatory pronunciation. I also demonstrated that the words with departing tone starting with a H is realized as HH... in the majority of modern dialects. It was also discovered, that the tone system of the Hamgyeong dialect differs significantly from that of Middle Korean. In conclusion, I argue that the tonal system of Middle Korean reflects that of the Central dialect of the time, and that it underwent a universal linguistic evolution that can be observed in neighboring languages, evolving into the tone system or non-tonal pitch system of the present day dialects,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