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정보 구조는 청자의 정보 지위에 대한 화자의 가정을 반영한 화용-형태적 범주이며 자향성은 평서문 화자와 의문문 청자라는 자향 문맥에서 근원 인식자의특권적 접근을 나타내는 문법 범주인데, 두 범주는 독립적이지만 직시-화용적특성을 공유하면서 문장에서 상호작용한다. 한국어 ‘은/는’과 ‘이/가’는 정보 구조의 관점에서 각각 주제 표지 또는 초점 표지로 논의되었는데, ‘은/는’은 (비대조/ 인가) 주제, 대조 주제, 비인가 주제, 대조 정보 초점을 나타내고, ‘이/가’는 정보 초점, 대조 초점, 비인가 주제, 비초점 주제을 지시할 수 있다. 한편 “나는 춥다.”와같은 문맥에서 ‘은/는’은 평서문 1인칭 주어가 문법화된 자향 표지와 함께 공기하지만, “날씨가 춥다.”처럼 ‘이/가’는 2∼3인칭 주어와 함께 비자향 문맥에 분포한다. 또한 자향 문맥에서의 비인가 주제는 ‘은/는’으로 표시되지만, 비자향 문맥에서의 비인가 주제는 ‘이/가’로 나타난다. 이처럼 ‘은/는’의 주제-평언 구문은 대조주제, 대조 정보 초점, 자향 비인가 주제 구문으로, ‘이/가’의 정보 초점 구문은 대조 초점, 비초점 주제, 비자향 비인가 주제 구문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본고는 비대조/비초점의 주어 자리에서 ‘은/는’은 자향 주제 표지이며, ‘이/가’는 비자향 주제 표지라고 제안한다.


Information structure is a pragmatic-morphological category that reflects the speaker's assumption of the listener's information state, and egophoricity is a grammatical category that represents privileged access of the primary knower that is the speaker of statements and the listener of questions as the egophoric context. Two categories are independent, however, because of the deictic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these categories, there are interactions between them in a clause. In previous studies, un/nun and i/ka of Korean are discussed each as a topic marker and a focus marker in the view of information structure. Specifically, un/nun could be used to represent a (non-contrastive and ratified) topic, a contrastive topic, an unratified topic, or a contrastive information focus. And i/ka could indicate an information focus, a contrastive focus, an unratified topic, or a unfocused topic in the information structure of a clause. On the other hand, un/nun co-occurred with grammaticalized egophoric markers in the egophoric context where the subject is the first- person speaker in a statement such as na- nun chupta .('I am cold.'), and i/ka distributed in the unegophoric context with second or third-person subjects such as nalssi- ka chupta .('The weather is cold.') And un/nun represents an unratified topic in an egophoric context, and i/ka indicates an unratified topic in an unegophoric context. S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asic meaning of un/nun is an egophoric topic marker, and i/ka is an unegophoric topic marker in the subject position with non-contrastive and unfocused mean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