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인용문 형식에서 문법화한 ‘-다고’와 ‘-냐고’, ‘-라고’, ‘-자고’ 연결어미의 의미 기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다고’와 ‘-냐고’는 ‘원인·이유’와 함께 ‘의도·목적’의 의미 기능을 나타내고 ‘-라고’와 ‘-자고’는 ‘의도·목적’의 의미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논의되어 왔는데 본고에서는 이들이이런 의미 기능을 갖게 된 연유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유사한 의미 기능을 나타내는 ‘-다고’류 어미들 상호간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도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차이는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다고’류 연결어미는 기존 연결어미 ‘-어서’나 ‘-니까’, ‘-려고’나 ‘-게’, ‘-도록’과 어떤 의미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는데 ‘-어서’나 ‘-니까’, ‘-려고’, ‘-게’, ‘-도록’과 달리 선행하는 정보가 화자에게 내면화된 것이 아닌 간접적으로 얻어진 지식임을드러내어 선·후행절 관계가 직접적인 관계를 가질 때는 부자연스럽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은 이들 어미가 인용문 형식에서 기원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semantic functions of the connective endings of ‘-dago(-다고)’, ‘-nyago(-냐고)’, ‘-rago(-라고)’, and ‘-jago(-자고)’. The connective endings of ‘-dago(-다고)’ type were formed by deletion of the ‘h(ㅎ)’ and coalescence of the vowel ‘-a(ㅏ)’ in the Korean Quotation Construction ‘-neunda ha(-는다 하고)’. ‘-dago(-다고)’ and ‘-nyago(-냐고)’ have semantic functions of 'cause/reason' and 'intention/purpose'. It is related to the super-predicate in the form of a quotation that the same form can represent a different relation in chronological order. This is possible because 'cause/reason' is developed from the utterance verb and 'intention/purpose' is developed from the thought verb. However, ‘-rago(-으라고)’ and ‘-jago(-자고)’ have the semantic functions of ‘intention/purpose’. These can express the 'cause/reason' but not the 'intention/purpose'. This is because they developed from imperative and requestive endings. And these connective endings are semantically different from ‘-eoseo(- 어서)’, ‘-nikka(-니까)’, ‘-ryeogo(-려고)’ and ‘-ge(게)’. Information preceding these endings is not internalized to the speaker. Therefore, these endings cannot be used when the preceding clause and the following clause have a direct relationship. These characteristics are due to their origin in the form of quo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