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생의 내재적 동기에 따른 대학 전공선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학교 차원의변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를 통해 일반계고 학생들의 개인적인 진로의식 및 발달과 경험, 그리고학교의 지원이 실제 진로결정 단계에서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고려한 진료선택을 하는 데 기여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Ⅱ의 2차, 3차년도 자료를 활용했으며, 일반계 고등학교를 졸업하여 대학에 진학한 2,876명, 204개교를 대상으로 일반화 다층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고 학생들의 내재적 동기에 의한 전공선택에는 학교별로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어떤 고등학교에 소속되어 있는지에 따라 내재적 전공선택에 미치는 영향이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내재적 동기에 의한 전공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학교 차원의 영향요인들을분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재적 동기에 의한 전공선택을 할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내재적 동기에 의한전공선택에 개인의 진로의식 및 발달이 중요한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 투입된 진로성숙, 자기효능감은공통적으로 내재적 동기에 의한 전공선택에 유의미한 정적 효과를 보였다. 넷째, 내재적 동기에 의한 전공선택에대해 가정환경을 대표하는 부모의 학력과 진로 대화 여부의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부모의 학력이 대졸 이상이고진로대화를 경험한 경우 내재적 동기에 의한 전공선택을 촉진하였다. 다섯째, 학교 차원에서 학생들이 평균적으로인식하는 부정적인 분위기는 내재적 동기에 의한 전공선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연구를 통해 제시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대학진학 시 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에 따른상담 및 지도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둘째,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전공선택 과정에서 부모의 영향력이 상당 부분존재하는 만큼, 가정에서의 진로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접근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dividual and school-level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intrinsic major choice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is study, the contribution of personal career consciousness, development and experience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support of the school to making a choice that takes into account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in the actual career decision stage were analyzed.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2nd and 3rd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II were used, and a generalized multi-level model was applied to 2,876 people students who went on to university after graduating from general high school. The main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hools in the intrinsic major choice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is meant that the influence on the intrinsic major choice could differ, depending on which high school the students attended. Second, th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rinsic major choice at the individual and school levels, made it possible to confirm the differences by gender. Third, individual career awareness and development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intrinsic major choice. Career maturity and self-efficacy input in this stud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trinsic major choice. Fourth,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rinsic major choice was seen for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er dialogue, which represent the home environment. Fifth, the negative atmosphere perceived by students on average at the school level has the potential to affect their intrinsic major choice. Research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unseling and guidance according to the motivation of students to choose their major when they enter college/university in a general high school. Second, as parents' influence in the major selection process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exist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approach to promote career activities at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