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누보 로망의 대표 소설가이자 시나리오 작가, 영화감독인 로브그리예의 1984년 일본 방문과 일본의 번역 수용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그의 대표작 『질투』는 일본에 일찍 번역되었지만 일본의 프랑스 문학자, 연구자 사이에서만 화제가 되었을 뿐 독자에게 조금 난해한 문학이었다. 그러나 『질투』는 일본에서 1959년에 번역된 동시에 1960-1970년대 간행된 세계문학전집에도 수록되어 로브그리예 문학이 단순한 외국문학이 아니라 일본이 ‘읽어야 하는 세계적 작가와 작품’으로 인정받았다는 것을 의미했다. 로브그리예는 영화인의 자격으로 1961년(1차)과 1978년(2차)에 방일했다. 로브그리예가 1961년 일본을 처음으로 방문한 이유는 일본의 다이에이(大映)영화사의 의뢰로 감독 이치가와 곤(巿川崑)과 일불합작영화를 제작하기 위해서였다. 2차 방일은 프랑스정부문화사절로 한 달간 체재했으며 1961년과 달리 1978년 방일은 방일 전부터 미디어가 그의 방일을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1984년 로브그리예의 3차 방일은 프랑스 대표 지식인이자 작가로서 국제펜대회를 참가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했다. 로브그리예는 국제펜대회에서 ‘핵상황하의 문학’ 속 일본인이 일본의 핵 피폭만을 강조하는 현상을 지적했다. 그는 ‘핵무기’만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전쟁’ 자체를 반대했다. 3차 방일에서 로브그리예 영화작품 6편이 1984년에 5월 말 방일기념으로 상영되었고 상영회 후 이어진 토론에서 문학에 관한 언급이 나온다. 1984년의 방일은 1961년(1차), 1978년(2차)에 비해 문학에 대한 구체적 발언이 훨씬 많았고, 로브그리예가 시나리오 작가, 영화인보다는 ‘프랑스를 대표하는 지식인’이자 ‘작가’로 재인식되는 계기가 되었다. 요컨대 이 글은 일본의 로브그리예 초청을 통한 문화교류, 일본의 로브그리예 수용의 문화사적 의미를 다층적으로 구명하는 번역문화사 연구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a visit to Japan in 1984 by Nouveau Roman's representative novelist, screenwriter, and film director Robbe-Grillet's, and the acceptance of Japanese translation. His representative work, Jealousy, was translated early in Japan, but it was only a hot topic in Japanese French literature and researchers, and was quite difficult for the reader. As a filmmaker, Robbe-Grillet visited Japan in 1961 (first) and 1978 (second). In 1984, he visited Japan to participate in PEN international as a leading French intellectual and writer. Compared to 1961 and 1978, his visit in 1984 included much more specific remarks about literature, and it was an opportunity for Robbe-Grillet to be recognized as an “intellectual representing France” and “writer” rather than a screenwriter and a movieman. In short,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translation and cultural history that researches on the cultural exchange through invitation of Japan to Robbe-Grillet and the acceptance of Robbe-Grillet in Japan in lay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