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좋은 그림책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초점 질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진술하고, 유목화하였으며,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이를 통해 산출한 자료를 토대로 다차원 척도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좋은 그림책에 대한 인식으로 60개의 최종 진술문이 생성되었으며, 다차원 척도분석을 통해 ‘예술작품-교육자료’, ‘주제-아이코노텍스트’의 차원으로 나누었다. 군집분석을 통해 진술문을「그림 텍스트가 독특하고 매력적인 작품」,「그림책 구성요소의 조화가 돋보이는 작품」,「유머와 즐길 거리가 풍부한 작품」,「유아의 마음에 울림을 주는 작품」,「감각적 표현 묘사가 두드러지는 작품」,「유명하고 인기가 있는 작품」,「교육적으로 가치 있는 주제를 담은 작품」,「독자의 문학적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작품」,「교육적 활용과 연계가 용이한 작품」,「유아의 능동적 해석이 가능한 작품」등 10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의 좋은 그림책에 대한 집단적 개념 구조 탐색을 통해 유아 문학교육 및 그림책 관련 교사교육의 방향 및 지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good picture books using the conceptual map method. A total of 20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Study participants stated their thoughts on the focus question, nominated them, and rated their importance. Based on the calculated data, multidimensional scale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es were performed. A total of 60 final statements were generated based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good picture books.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it was divided into two dimensions: “Works of art-Educational materials” and “Theme-Iconotext.” In addi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the statements were classified as “works with unique and attractive picture text,” “works with outstanding harmony between picture book elements,” “works rich in humor and enjoyment,” “works that resonate in the hearts of children,” “works with outstanding sensory expression,” “famous and popular works,” “works with educationally valuable themes,” “works that evoke literary responses from readers,” and “works that are easy to use and link with education.” The results can be us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and support plan for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and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picture books by exploring the collective conceptual structure of good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