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찰 내 탑, 금당, 강당 등의 건물들은 각각의 의미와 기능을 가지고 대체로 고정적인 위치에 조성되어 있다. 연지도 조영 당시에 그러한 의미와 기능, 위치 등이 있었을 것으로 보아, 본고에서는 경전, 고대 문헌 기록, 발굴조사 성과 등을 검토하여 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경전에서 확인된 사찰 내 연지는 연꽃을 심고, 목욕, 세탁, 祈願 행위 등을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었고, 더러움이 없는 맑고 깨끗함, 영원 등을 상징하였다. 우리나라 고대 문헌에는 다섯 곳의 사찰에서 연지의 기록이 확인되었고, 연꽃을 심는 기능과 연못가에서 기원 행위를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발굴조사를 통해 9개소의 사찰에서 연지가 확인되었다. 연지의 위치를 검토해 보면 사찰 내에서 확인된 연지는 모두 회랑 외곽에 있으며, 특히 중문지 남쪽에 다수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찰 남쪽이 아닌 북쪽에 있는 연지는 황룡사가 대표적이다. 중문지 남편에 있는 연지는 대체로 (장)방형인 경우가 많고, 황룡사나 불국사의 연지처럼 부정형의 모습을 하는 것도 확인된다. 사찰 북쪽에 있는 황룡사 연지는 주변 건물과의 배치와 출토유물 등으로 봤을 때, 사찰 내 정원시설이면서 의례 공간으로 볼 수 있다. 또는 중국의 문헌 기록을 참고로 하여, 放生 의식을 행하는 방생지의 역할을 했을 가능성도 있다. 사찰의 출입구인 중문 근처에 조성된 연지는 대체로 방형의 형태를 하고,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연지는 참배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당시 사람들은 사찰로 들어가기 전에 연꽃이 있는 연지를 보고 자신의 더러움을 씻고 부처님의 세계로 들어간다고 생각하였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연못의 위치에 따라 그 기능과 의미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사찰 내 연지가 단순하게 하나의 기능을 위해서 조성되지는 않았을 것이며, 여러 가지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였을 것으로 생각한다. 지금까지 중문의 남편까지 발굴된 사례가 다소 많지 않았기 때문에, 향후 전면적인 사찰 발굴이 진행되어 연지가 더 확인되면, 연지의 기능과 의미에 대해서 깊은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


Buildings such as towers, main halls, and auditoriums in a temple have their own meaning and function and are generally located in fixed positions. Assuming that ponds, too, must have had such meaning, function, and location at the time of construction, this study is aimed to clarify it reviewing Buddhist scriptures, ancient literatures, and the results of digs from various angles. According to Buddhist scriptures, ponds in temples had the functions of planting lotus flowers, bathing, washing, and praying, and so on and symbolized clearness and cleanliness without dirtiness and eternity, etc. Also, ancient literatures contain records about ponds located in five temples and say they had the functions of planting lotus flowers and doing the deeds of praying around them. Excavations have found ponds in nine temples. About their locations, all the ponds found in temples are located outside the hall, and particularly, many of them are located in the south of the inner gate. Hwangryongsa Templ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examples having a pond in the north, not in the south of the temple, and it was located near the northwest wall outside the hall. In terms of their forms, ponds located in the south of the inner gate are generally (long) rectangle-shaped, and the shapes of such ponds as the one in either Hwangnrongsa Temple or Bulguksa Temple are atypical. Considering the layout of the pond in Hwangryongsa Temple and relics excavated in it, the pond may have been a garden facility and space for ritual in the temple. Also, according to Chinese literatur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served as a release place for the ritual of releasing animals. Ponds that are located near the inner gate, the entrance to the temple, is generally square and symmetrically arranged. The ponds seem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worshipers, who enter the temple passing by the pond. In Buddhism, lotus flowers also mean Buddhism itself. Before entering the temple, people at that time would have thought that they would wash their dirt by watching the pond with lotus flowers and then enter the world of Buddha.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ponds vary according to their locations. However, it is believed that ponds in temples were created not just for a single function but actually played several roles in combination. Since there are not many cases of ponds that been found in the south of the inner gate so far, it is expected that more ponds will be found if full-scale temple excavations proceed afterwards, and it will lead to in-depth discussions over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po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