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메타에듀를 공식화하기 위해 우리(WE)에게 당면한 문제를 설정하고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메타에듀가 당면한 문제는 근대교육에 대한 믿음이 여전히 견고하다는 것과 메타에듀에 적합한 교육모델이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우리(we)가 메타에듀를 통해 이루고 싶은 교육적 이상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해야, 기술이 그것을 구현할 수 있다. 인간과 기술의 공진화는 모두 여섯 단계로 구성된다. <필요-반응-한계-전환-구축-도약>이다. 현재 메타에듀는 3단계 ‘한계’에 봉착해 있다. 4단계 ‘전환’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기왕의 접근방식에서 벗어나 문제를 재설정해야 한다. 문제의 재설정은 대면교육에서는 할 수 없는 메타에듀만의 혁신적인 교육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메타에듀에서 효과적인 교육방식은 지식 전달 중심의 교수-학생 간 위계 강의가 아니라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경험 강화를 통해 성장하고, 그 과정에서 성취감을 느끼는 <게임 메커닉스 기반 학습(Game Mechanics Based Learning)>이며, 가장 적합한 수업 형식은 비교과 교육과정이다. 교수-학생 관계가 유연하고, 일방적 지식 전달 수업이 아니며, 정해진 학기에 구애받지 않고, 교수자가 평가 시스템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자가 제안하는 <게임 메커닉스 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의 세 가지 원칙은 ‘플레이어 중심 학습’, ‘PNP 상호 경험강화학습’, ‘레벨업(평가)과 피드백(보상) 시스템’이다. 한국의 거의 모든 대학이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고 메타에듀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대학마다 <게임 메커닉스 기반 학습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없다. 대학마다 핵심역량이 있고 비교과프로그램과 연동돼 있으므로 비슷한 대학끼리 합종연횡하거나, 권역별로 묶거나, 아니면 비교과 프로그램을 모듈화하여 대학 구분없이 시스템을 공동으로 운영하는 방법도 있다. 메타에듀가 설정한 이상적인 인재상인 ‘탁월한 인텔리’는 게임 메커닉스 기반 교육과정을 통해 구체화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problems facing us (WE) in order to formalize MetaEdu and to seek solutions. The problem that MetaEdu faces is that the belief in modern education is still strong and that an education model suitable for MetaEdu has not yet materialized. We need to be clear about what we want and what we can do in MetaEdu so that technology can implement it. Co-evolution consists of six stages. It is <need – response- limit- transform –build - leap>. Currently, MetaEdu is facing the 3rd stage 'limit'. In order to move on to step 4, “transition,” we need to reset the problem. What is MetaEdu's unique innovative education model that cannot be done in face-to-face education? The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in Metaverse is not a hierarchical lecture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centered on knowledge transfer, but <Game Mechanics Based Learning>, where students voluntarily participate, grow through experience reinforcement, and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in the process. and the most suitable class is the non-curricular curriculum. This is because the professor-student relationship is flexible, it is not a knowledge transfer class, and the evaluation system can be freely designed regardless of the semester. All. The three principles of operation of <Game mechanics-based non-curricular curriculum> are ‘player-centered learning’, ‘PNP mutual experience reinforcement learning’, and ‘level-up (evaluation) and feedback (reward) system’. It is very encouraging that almost all universities in Korea are running non-curricular programs and are interested in meta-edu. Although it is facing its limits, it is because it has the basic human and material infrastructure for MetaEdu. There is no need to build a <game mechanics-based learning system> for each university. Since each university has core competencies and is linked to non-examination programs, there is a way to build each system by consolidating similar universities, grouping them by region, or modularizing non-specialized programs. 'Excellent intelligence' will only be recognized for the proficiency of Metatechne regardless of the reputation of the university from which he graduated. It will be a decisive mo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