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직업계 고교생의 역량과 불안을 기준으로 잠재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을 예측하는 요인과 진로결정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분석자료는「한국교육종단연구」의 6차(2018, 고1)데이터이며 최종 연구대상은 학생역량과 불안 문항에 모두 응답한 925명이다. Mplus 8.1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예측요인의 영향력과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진로결정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3단계 추정방법(R3STEP, DCAT)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업계 고교생의 역량과 불안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은 고역량-저불안(17.9%), 평균역량-저불안(33.5%), 평균역량-고불안(19.3%), 저역량-고불안(29%)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진로 및 직업상담 경험은 다수의 잠재프로파일을 예측하는 변인이었으며,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을수록 고역량-저불안 집단보다 평균역량-고불안 집단에, 평균역량-저불안 집단보다 평균역량-고불안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분류된 잠재집단 간 진로결정 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평균역량-고불안 집단이 .97로 가장 높았으며, 저역량-고불안 집단이 .87로 가장 낮았다. 저역량-고불안 집단과 다른 세 집단의 차이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균역량-저불안 집단과 고역량-저불안, 평균역량-고불안 집단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직업계 고교생의 진로교육 및 상담 정책 수립에 있어 역량과 불안 관련 요인을 고려함과 동시에 각 잠재집단의 특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반영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latent profiles regarding the anxiety and competenci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s. Methods: A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the sixth wave (2018, high school first grades) of data sourced from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four latent profiles : high competence-lowest anxiety (17.9%), middle competence-lowest anxiety (33.5%), middle competence-high anxiety (19.3%), and lowest competence-high anxiety (29%). Moreover, the multinomial logi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paid work experience, career psychological test and counseling experiences, and virtual job experience variables were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ossibility of career decisions between the latent profiles, the middle competence-high anxiety group was the highest at .97, and the low competence-high anxiety group was the lowest at .87.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w competence-high anxiety group and the other three groups was significant,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 competence-lowest anxiety, middle competence-lowest anxiety, and middle competence-high anxiety groups was insignificant. Conclusions: Efforts should be made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class. Moreover, their competencies and anxieties should be considered while making policies for managing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