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1991년 북한에서 간행된 조령출 윤색 『춘향전』을 춘향서사의 전변(轉變)이라는 구도 안에 포함하고, 이 텍스트에 나타난 변모의 특징과 변모에 내재된 의미를 춘향과 월매의 형상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조령출 윤색 『춘향전』이 완판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옥중화』를 수용하였음을 밝혔다. 조령출 윤색 『춘향전』의 춘향과 월매 형상에 나타난 변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조령출 윤색 『춘향전』의 춘향은 여염 여성, 즉 보편적 피지배층 여성으로 변모하면서 자유의지와 문제적 인물로서의 성격을 상실한다. 그러하기에 춘향은 여성 규범의 학습을 통해 열(烈) 관념을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남편 이도령에 대한 열행을 실천한다. 조령출 윤색 『춘향전』에서 월매는 춘향보다 앞서 탈기생화(脫妓生化)를 시도하고 보편적 여염 여성으로서의 삶을 추구한다. 월매는 춘향을 자신의 지향에 따라 교육하면서, 세계와 춘향을 매개하는 보편적 어머니이다. 나아가 월매는 신분제로 인한 사회 불평등의 문제를 첨예하게 각성한다. 조령출 윤색 『춘향전』에 나타난 춘향과 월매 형상의 변모는 북한의 여성 인식 및 여성 정책과 유관하다. 조령출 윤색 『춘향전』의 춘향 형상에는 가부장제적인 북한 사회가 여성에게 요구하는 규범과 윤리를 실천하는 여성의 형상, 즉 남성에게 순종적인 여성의 형상과 남편을 위해 정절을 지키는 아내의 형상이 투사되어 있다. 또한 북한에서는 모성(母性)을 혁명적 인성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월매는 춘향을 신분제 사회의 불평등에 저항하도록 길러낸 주체로 변모하였다. 즉 조령출 윤색 『춘향전』에 나타난 춘향과 월매 형상의 변모는 북한 사회의 계급 의식과 젠더(gender) 인식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춘향서사의 전변이라는 구도에서 조령출 윤색 『춘향전』을 검토해 보자면, 이 텍스트는 비기생계(非妓生系) 춘향서사를 계승한 텍스트이다. 또한 북한 체제가 추구하는 이념과 이념에 부합하는 인물의 형상을 춘향과 월매에 투사하는 방향으로 전변하였다는 점에서, 동시기 남한 춘향서사가 작가 개인의 창작물로서의 성격을 강화하였던 사실과 대조를 이룬다.


This paper investigates Chunghyangjeon(春香傳) embellished by Jo Ryeongchul(조령출) and published in North Korea in 1910, especially focusing on the changes and their meanings of Chunhyang and Wolmae. This text mainly inherited Wanpan(完板) 84 sheets YeolnyeoChunghyangSujeolga(烈女春香守節歌) and partly inherited Okjunghwa(獄中花).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is text, the character of Chunhyang had changed into a general subjugated woman, and Chunhyang lost the characteristics as a problematic individual. So she just obeyed the social norms for woman and was faithful to Yidoryeng(李道令) her husband. Wolmae tried to break out of kisaeng(妓生) before Chunhyang did. Wolmae pursued the life of an ordinary woman and wanted her daughter to live like that. And Wolmae awakened hotly to the social inequalities. These changes of Chunhyang and Wolmae are closely related to the perception and the policy for women in North Korea. Chunhyang was the female figure that patriarchal nation demanded. Motherhood was considered as a revolutionary personality in North Korea, and Wolmae raised and taught her daughter to protest against inequality in hierarchical society. These changes resulted from the complex action of the class consciousness and gender consciousness in North Korea. Reviewing the narrative of Chunhyang, this text inherited the narrative of non-kisaeng Chunhyang. And this text complied with the social ideology in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 narrative of Chunhyang in South Korea had changed into the individual author's work at the same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