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창란호연록>은 겉과 속이 다를 수밖에 없는 인간적 현실이 잘 그려진 작품으로, 본고는 규범상 감히 발화할 수 없었으나 실존했던 여성인물의 감정과 그것의 운용 양상을 살핀 논의이다. <창란호연록>에는 한난희-장희 부부, 이운혜-장우 부부의 갈등이 옹서 갈등과 얽히며 높은 비중으로 지난(至難)하게 전개되어 있다. 여성 주인공 한난희와 이운혜는 혼인 전후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는다. 한난희는 부유하고 허용적인 부모 밑에서 자라,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거칠게 표현하고 정혼을 파기하려는 부모 뜻에 저항해 가출을 감행하는 등, 유순정정(柔順貞靜)한 미덕을 결여한 인물로 그려진다. 그런데 시부(媤父) 장두를 만나 교화되고 감정 표출을 삼가게 되면서부터, 혼인 생활 중 친정을 혐오하는 남편과 지속적으로 갈등하면서도 자신의 감정을 발화하지 못한 채 심각한 우울감에 시달리게 된다. 이운혜는 한난희와 달리 어릴 적부터 유한정정(幽閑靜貞)한 덕이 뛰어난 인물로 장우와 법도에 맞게 순조롭게 혼인한다. 그런데 장우가 혼례 전 만난 양난주를 그리워하며 이운혜를 외친내소(外親內疎)하고, 그 일에 이운혜 부친 이윤이 개입하면서 갈등이 심화된다. 이운혜는 장우의 박대와 폭행을 당하게 되는데, 그러한 상황에서도 예적 태도를 지키며 부인의 도리를 다하나, 오랜 시간 정서적 소통과 잠자리를 거부한다. 한난희와 이운혜는 부부관계에서 수동 공격적 행동(passive-aggressive behavior)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여도(女道)에 구속되어 있어, 부정적 감정을 직접적이고 공격적으로 표출하는 남편을 상대하며 마음 속 깊이 느끼는 ‘불쾌(不快)’, ‘불호(不好)’의 감정을 직접 발화하지 못하고 표면적으로는 순종하며 아내의 도리에 충실하다. 그러나 상대의 정서적 소통 요구에 침묵단좌하고 잠자리를 거절하는 등 수동 공격적 행동을 지속한다. 이러한 행동은 관계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며, 더욱이 본인의 정신 건강도 해친다. 그런데 이는 비단 한난희와 이운혜 개인의 성격적 문제라고 치부할 수 없다. 수동 공격적 행동은 감정의 직접적인 표현이 금지되거나 허용되지 않는 환경에서 취하게 되는 방식으로, 조선의 가부장적 유교 문화와 상층 여성의 교양 교육과 상관관계가 깊기 때문이다. 한난희와 이운혜가 혼인 생활에서 느꼈던 불쾌의 감정은 그들에게 실존했으나 사회적 실재로서 온전히 시인되지 않았고, 불온한 것으로 취급되며 발화할 수 없는 것으로 억압되었다. 그 결과 그들의 발화할 수 없는 감정은 해소될 기회를 얻지 못하였고 부부 간의 화락도 요원한 일이 되었다. 이처럼 <창란호연록>은 여타 고전소설과 달리 부부 간 진정한 화해가 이뤄지지 않은 ‘미완의 구조’로 끝난다. 남편에 대한 여성인물의 정서적, 신체적 친밀감이 끝내 표현되지 않는다. 여성을 주체가 아닌 객체로 삼고 남성의 필요에 따라 여성을 제어하려던 가부장적 지배질서는 언행은 물론 감정까지 통제하는 전략을 취했지만, 감정은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어서, 상대를 억압하다가 편의대로 사랑하게 할 수는 없는바, 이 소설은 그러한 현실을 잘 보여준다.


Changranhoyeonrok is a work that superbly depicts the inevitable gap between the inward and outward aspects of human reality. This article discusses the emotions that female characters would not dare verbalize under the norms of their society and examines how emotions are controlled. In Changranhoyeonrok, the marital conflicts between Han Nanhee and Jang Hee and between Lee Unhye and Jang Woo are tangled with another strife with in-laws. The female protagonists, Han Nanhee and Lee Unhye, face various difficulties before and after marriage. They show passive-aggressive behavior in their marital relationships. Bound by traditional virtue expected of women, the two women cannot directly express their feelings of “displeasure” and “dislike” from deep inside the heart while facing their husbands who express negative emotions directly and aggressively. Still, they are superficially obedient and faithful to the principles of wives’ behavior. However, they continue to engage in passive-aggressive behavior, such as staying separate despite their husbands’ demands for emotional communication and refusing to share a bed with them. This behavior negatively affects their relationship and harms their mental health. However, this cannot be dismissed as a personal problem for Han Nanhee and Lee Unhye. Passive-aggressive behavior is typical where direct expression of emotions is prohibited or not allowed, and it is deeply correlated with the patriarchal Confucian culture in Joseon and the cultural education of upper-class women. Despite the unpleasant feelings that Han Nanhee and Lee Unhye experience in their married life, their emotions are not fully recognized as a social reality, regarded as disturbing, and the women are suppressed not to vocalize their emotions. As a result, they had no opportunity to resolve their unverbalized emotions, and the peace and harmony of the couple faded away. Unlike other classical novels, Changranhoyeonrok has an open ending with no genuine reconciliation between the spouses. The emotional and physical intimacy of the female characters with their husbands is never expressed. The patriarchal order, which controls women at men’s demand, required strategies of manipulating words and actions. However, since emotions cannot be controlled easily as needed, it is impossible to suppress others and command their love at one’s conven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