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산수화의 작품에서 예술성의 요체가 어디에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 구체적 사례로서 정선의 진경산수화와 그 동국진경의 생명정신을 고찰한다. 특히 정선의 말년에 작품이자 그의 독특한 화풍을 잘 드러낸 두 작품, 즉 인왕제색도와 금강전도를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이들 산수화의 특성을 밝히는 데에 실경(實景)과 진경(眞景)의 본질적 관계에 주목하고 그 논법으로서 의상(意象)과 의경(意境)의 예술철학적 원리를 활용한다. 산수화의 생명정신은 산수의 의상과 의경을 실경의 재현과 진경의 표현과 어떻게 연관시키는가 하는 점에 달려있다. 이는 산수의 공간이 전환하는 과정, 즉 실졍(實景)의 진경화(眞景化)에서 접근된다. 여기에서는 자연산수의 물리적 공간에서 실경산수의 사생정(寫生的) 공간으로 확장되고 진경산수의 사의적(寫意的) 공간으로 확충된다. 이들 공간은 인간의식의 차원에서 각각 인식론적 시계, 존재론적 세계, 가치론적 경계로 전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의 전환에서 진경산수화의 요체, 즉 동국진경의 생명정신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동국진경의 생명정신은 생명미학의 예술철학적 방법론에서 도출된 결과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예술철학적 방법론 속에서 동국진경의 생명정신은 한국의 회화사에서 미래지향적 청사진의 단면을 드러낸다고 말할 수 있다.


The essay is focused upon analyzing Jeong Sun’s Jinkyong landscape painting in his artistic way. The world of Donggukjinkyong is characteristic of the methodology of Jinkyong in landscape paintings, which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horizon of life Aesthetics. The methodological idea of Jinkyong provides a kind of foundation for the artistic theory of landscape paintings. It is a clue to what is a rule of Jinkyong landscape painting so as to apply it into a technique of landscape paintings, and ultimately to attain to the Donggukjinkyong way. From the viewpoint of the philosophy of art, his Jinkyong of landscape painting is a symbolic crystallization of real scenery landscapes in such a process of space turn as the epistemological vision of Natural landscape, the ontological world of actual scenery landscape and the axiological horizon of real scenery landscape. It has an integral reality of artistic way toward life spirit in the Aesthetical methodology of Donggukjinkyong. Thus, it is consequent that his artistic character of Jinkyong landscape painting is at a central point not only for an origin stream of the Korean artistic spirit of landscape painting but also for the archetype and ethos of Korean culture in the East 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