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중등학교 메이커교육에서 실행할 수 있는 TBMSI 모형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방법 이에 메이커교육의 개념과 모형을 살펴보고 한계점을 보완하여 TBMSI(팅커링-되어보기-만들기-공유하기-개선하기) 모형을 제안하였다. TBMSI 기반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문가들의 검토를 통해 수정 및 개선하였으며 2021년 1학기 S시 소재의고등학교에서 2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총 16차시 동안 적용하였다. 참여관찰, 성찰일지, 심층면담, 온라인 게시물 자료, 수업 활동촬영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면담 형식은 개방형 질문을 사용한 반 구조화된 면담을 취하였다. 자료 분석 시에는 삼각 검증을고려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이를 통해 개인적 측면(공감적 태도, 학습에 대한 자발성, 창의적 문제해결, 생산적 실패, 다양한 자료와 도구 활용 능력)과 사회적 측면(소통을 통한 협력, 타 분야와의 연결, 개인과 사회와의 상호작용)에서 매우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결과로 TBMSI 모형이 정규교육에서 메이커 운동의 정신을 반영한 실질적인 메이커교육의 역할을 할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메이커교육은 창작 공동체이자 물리적 공간인 메이커 스페이스에서 학습의 주도권을 가진 학생이 자신의 삶 속에서 마주하는개인적 혹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학생 스스로 필요한 정보, 지식, 기술 등을 습득하면서 가시적인 결과물을 창조하는 교육이다. 본 연구는 메이커교육의 특징과 학습자의 요구 및 교수자의 경험을 충분히 반영하여 제시하고 실험함으로써 실제 정규교육에서활용 가능한 메이커교육 모형을 개발한 것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ossibility of TBMSI model that can be implemented in secondary school maker education. Methods For doing this, this study examined concepts and models, supplemented limitations, and proposed TBMSI(Tinkering-Becoming-Making-Sharing-Improving) model. This study developed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BMSI, corrected, improved them through expert reviews, and applied them to 25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city for a total of sixteen rounds in the 2021 Semester 1. In addition,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reflective journals,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 journals, online posting materials, and class activity shooting. Results Through this, this study could identify the very positive learning effects in individual aspects (empathic attitudes, spontaneity on learning, creative problem-solving, productive failure, various materials, and utilization of tools) and social aspects (cooperation through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other fields). This study identified that TBMSI model could perform roles of practical maker education reflecting spirit of maker movement in formal education. Conclusions In a maker space considered as a creation community and physical space, maker education creates visible outcomes as students are learning information, knowledges, and technologies necessary for themselves in order to solve individual or social problems that students taking initiatives in learning face in their life.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develops the maker education model that can be utilized in real formal education by reflecting, suggesting, and experimenting characteristics of maker education, learners' needs, and teachers' exper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