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예수의 복음 선포는 민중들에 대한 해방사건과 다르지 않다. 예수가팔복선언뿐만 아니라 사람들을 만나면서 어떻게 복음을 전파했는지를 알아가다 보면 민중의 해방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조금을 알 수 있을것이다. 이 글에서는 따라서 민중신학에서 이야기하는 ‘해방’의 의미를‘죄인’을 만난 예수를 통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소위 사회에서 죄인이라고 낙인찍은 사람들을 만나서 예수는 그들에게 죄로부터의 해방을 선포했다. 만약 이 현실이 예수에게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 우리에게서도 이어지게 하려면 이 사건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면밀히 살펴볼필요가 있을 것이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민중을 해방시킨다는 의미를 언어에 이미 내재되어 있는 이분법과 차별적 요소를 해체함으로써 민중을 죄인의 위치에 놓치 않으려는 노력으로 이해하려고 한다. 이 작업을 위해서 먼저 서남동을통해 민중신학에서 말하는 죄는 전통 신학적 의미의 죄 이해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민중신학적 접근을 더 심화시키기 위해서 언어에 놓여진 기득권 중심성을 해체하고자 하는 학자들, 즉 포스트식민여성운동가 가야트리 스피박(Gayatri Spivak)과젠더의 이분법을 해체한 쥬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이론을 살펴볼것이다. 그 후에 한국에서 이러한 지식인 중심성을 극복해야 하는 딜레마를 가지고 있었던 사례로서 성매매특별법에 대한 문제를 다루어 볼 것이다


The paper aims to propose a new concept of liberation of minjung by expending the concept of liberation from the categorized concept of sin. By deconstructing the language which bears the gap between the powerful and the powerless, we might attempt to build up an equal relationship. In order to connect this concept of liberation with the concept of liberation of minjung, this study first deals with Suh Nam-dong’s theory on ‘Sin.’ Then, for deconstruction part, it introduces postcolonial feminist scholar, Gayatri Spivak who carefully read Foucault and Delueze’s theory on desire and Judith Butelr who criticize feminist theorists who are still staying in the boundary of humanist concept of man and women dichotomy. Lastly, this paper raises a question whether sex worker women should be criticized and considered to be sinner or not. The study concludes that we have to achieve the reality of “interconncetion” where I and s/he are not that separated be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