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청년 가나안 성도들의 종교 정체성과 종교문화적 실천이 어떤 식으로 만들어지는지 분석한 글이다. 탈종교 담론은 종교성이 없는 시대적 흐름이 사회적, 도덕적 가치의 쇠락으로 연결된다고 우려하였는데, 가나안 성도는 그 대표적 예시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심층 인터뷰를 한 결과, 청년 가나안 성도들은 윤리적 축을 중심으로 정체성을 구성하고 있었다. 이 윤리적 축은 능동적이고 자율적으로 사회적 이익을 추구하려는 ‘시민윤리’로 구성되었고 이러한 시민윤리적 정체성은 제도 종교 권력과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와 남성 중심 이데올로기, 한국 사회의 정치적 보수주의의 접합을 간파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간파로 형성된 종교 정체성은기존 개신교와의 위계를 만드는 ‘구별짓기’로 사용되거나 이데올로기적제약에 걸리는 경우도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저항적 실천을 만들어가고있었다. 이 연구는 청년 가나안 성도의 종교 정체성 기저에 윤리적 축이 존재한다는 것을 밝혔으며, 구체적인 이데올로기적 요소와의 관계 속에서 종교 정체성을 보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종교는 그 기능과 역할이 끊임없이 변모한다. 이에 신학뿐 아니라 문화연구와 학계 전반에서 종교가 사회에, 사회가 종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계속해서 요청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religious identity and the religious practice of young Canaan Christians are created and developed. This study employs Stuart Hall’s ‘cultural identity’ and Paul Willis’s ‘penetration’ and ‘limitation’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eir concepts are mostly useful as the ideological elements correspond to the young Canaan Christians’ religious identity and religious practices, exceed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ubstantial religious concepts. The result indicates that Young Canaan Christians were not deviators complaining about church or unethical beings. They were forming their identity based on distinctive ethical standards. The young Canaan Christians also shift their religious practice from religious rituals to socia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the ethical basis underlying the religious identity of the young Canaan Christi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