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겟세마네전승에서 문제시되는 예수의 ‘슬픔’ 모티프에 관한해석적 가능성들을 탐구하고자 한다. 특히 마태복음 기자가 마가 전승에나타난 세 차례의 기도(막 14:36, 39, 41)를 편집하여 예수의 구체적인 언명으로 확장, 발전시켰다는 사실(마 26:39, 42, 45)은 최종적 편집형태를통해 마태복음 기자가 일종의 기독론적 이해를 제시하고자 했음을 의미한다. 이는 겟세마네 전승에 관한 초대 기독교 공동체의 기독론적 이해를찾고자 하는 연구 목적에 부합하므로, 본 연구는 공관복음서 중에서도 마태복음 26:36-46을 주 본문으로 삼는다. 또한 초기 기독교 이래 겟세마네 전승에 대한 해석의 양이 방대한 관계로, 본 연구는 특히 예수의 ‘슬픔’ 모티프에 집중했던 교부 시기의 해석과 세계대전 이후의 해석 경향만을 간략하게 다룰 것이다. 각 시대의 해석적 경향과 기여점, 문제점을 논한 후 유대교적 의례 요소로서의 해석적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본 연구는 마태복음 기자가 겟세마네 기도를 편집함으로써 전달하고자 했던 자기 비움의 경건을 탐구하고자 한다.


The story of Jesus’ affliction at Gethsemane (Mark 14:32–42; Matthew 26:36–46; Luke 22:40–46; cf. John 18:1b) has long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provocative passages in the Gospels. Located in the opening of the passion narrative, the passage reports that Jesus became “grieved and agitated” (Matt 26:37). This depiction of Jesus, being unprepared and doubtful about what he will experience, agitated the interpreters, because the earliest stage of the mission, Christian interpreters have had a problem explaining why evangelists might have transmitted such a story which attenuates Jesus’ Christological aspect. This study will explore how Christian interpreters, specifically the ancient and modern interpreters, have understood Jesus’s grief in the story of Gethsemane. As its primary purpose is to suggest a theological proposal concerning the tradition, this study will select Matthew 26:36-46, in which Jesus’ prayer becomes expanded with specific words, as the main text. Then it considers Jesus’ grief in Gethsemane as the ritual element of Jewish piety. Comparing Matthew 26:36-46 to the significant aspects of Jewish penitential prayer, this study claims that Jesus’ expression of grief throughout the prayer presents his genuine piety, which fits into Jewish prophetic tra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