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에큐메니컬 운동의 관점에서 WCC 기후 문제에 대한 신학적 전개 상황을 살펴보고 신기후체제 시대 WCC의 기후위기 대응과 노력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크게 세 부분을 다룬다. 첫째, 1983년 제6차 밴쿠버 총회에서 정립되어 에큐메니컬 생태 신학의 기초가된 JPIC 개념이 탄생하는 배경과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WCC는 1990 년 서울 JPIC 세계대회 이후 본격적인 기후위기 대응에 동참하게 되는데, WCC가 발표한 주요 성명서와 보고서를 중심으로 기후위기 대응 방향을살펴본다. 둘째, 지난 제10차 WCC 부산총회에서 다루어진 기후위기에 대한 기독교적 인식을 고찰한다. 2015년 파리에서 개최된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는 기존 기후변화 체제를 극복하는 새로운 합의를 제시하게 되었다. 파리협약에서 제시되는 규정들은 WCC 기후 문제와 연결되면서 다양한 실천적 정책을 마련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WCC의 기후 정의를 위한 국제협력정책과 대응 방향을 살펴본다. WCC는 회원교회, 에큐메니컬 기구, 국제단체와 연대하면서 1) 생명 신학 구성과 기독교 생태 교육 증진, 2) 회원교회와 종교 간 연대, 3)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 참여를 통해 기후위기 문제에 대응해 왔다. 이러한 논지를 통해서 세계교회가 오늘의 기후위기에 대응할 체계적인 제도를 정립할 것과 다양한 주체가 하나님의 창조 질서를 보전하는 데 연대할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theological development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on climate crisis from an ecumenical perspective and to look at its efforts and responses over it in the era of the New Climate Regime. This paper forms three parts. First, it investigates the conceptu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Justice, Peace, and the Integrity of Creation (JPIC), a concept which is presented in the 6th WCC Vancouver General Assembly in 1983 and functions as a basis of WCC’s ecological theology. WCC actively participates in responses of climate crisis just after the 1990 Seoul JPIC Convocation, providing significant instructions, major statements and reports on climate issues. Second, it considers the ecumenical perceptions of the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 10th Busan General Assembly in 2013. Following the 2015 Paris Agreement, a landmark of international policies on the climate change, WCC offers multilateral practical policies on the issues. Lastly, it explores three ecumenical cooperation policies and tendencies of WCC for climate justice. In partnership with its member churches and ecumenical-international bodies, WCC copes with the climate issues with following actions: 1) construction of ecological theology and promotion of Christian ecological education, 2) its solidarity with member churches and faith-based organizations, and 3) participation in U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For those, this paper suggests to develop more efficient systems that deal with current climate crisis and emphasizes their deep solidarity among global churches for JP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