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유한한 공적자원인 주파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시장 상황이 복잡해짐에 따라주파수의 할당 및 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주도로 진행되던할당에도 시장 기능을 적용한 주파수 경매제도가 널리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2011년부터 4차례의 경매를 통해 이동통신 주파수를 할당하였고, 정부는 상당한재정수입도 거두었다. 그러나 경매제의 성과는 할당대가의 크기를 기준으로 평가하는데 그치고 있고, 관련 연구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높은 할당대가가 곧성공한 경매의 지표는 아니라는 것은 학계의 공통된 평가이다. 본 연구는 주파수 경매제 도입의 경제적 성과를 GDP에 대한 기여도의 측면에서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산업연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경매로 할당된 주파수가 2011 ~ 2019년 사이에 연간 478억 ~ 18조 6천억 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했음을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동통신 산업의 규모가 줄어드는 추세에서도 경매가 진행된시점 근처에서는 경제적 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시장에서 필요로하는 주파수를 충분히 공급하는 것이 정부의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As the demand for spectrum, which is a limited public resource, increases and the market situation becomes more complex, the importance of spectrum allocation and management has increased. Accordingly, spectrum auctions driven by market forces have been introduced widely across the world as an efficient mechanism of spectrum allocat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adopted auction system in 2011 and has allocated spectrum for mobile communication through four auction events since then, earning significant financial revenues from them. However, the performance of the spectrum auction system is often evaluated only by the revenue size, and there are little studies yet on that subject in Korea. It is a common agreement in academia that a high revenue itself cannot be a proper indicator of a successful auction.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an input-output analysis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Korea’s spectrum auction system in terms of the economic spill-over effects. It was identified that the spectrum allocated by auction created an economic value of 47.8 billion to 18.6 trillion won(₩) per year between 2011 and 2019. This can be regarded as a contribution to GDP. In addition, the economic effects increased after each auction event, even in the trend of decreasing sca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industry. Therefore, the government needs to provide enough spectrum for the industry through au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