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19년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COVID-19 pandemic)의 장기화는 우리 사회 전반을 혼란에 빠트렸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회복력 있는 도시로 전환이 논의되며, ‘도시공원’의 역할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주요 도시공원인 서울숲, 어린이대공원, 북서울꿈의숲을 중심으로 도시공원을 통한 도시회복력 증진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서울시 주요 도시공원은 어떠한 운영관리 방식을 통해 코로나19에 대응하였는지를 살펴보고, 둘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도시공원에 대한 이용객의 인식과, 이용행태를 살펴보았다. 코로나 시대 도시공원의 대응과 역할을 검토하는 것은 또 다른 재난을 맞이할지 모르는 우리 사회에 공원의 적절한 유지관리와 지속가능한 운영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도시공원이 더이상 바라만 보는 녹색 공간을 넘어 도시회복력 증진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참여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용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which began in 2019, has thrown our society into chaos. The transition to a resilient city in the post-COVID19 era is being discussed, and the role of ‘city parks’ is being actively review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discuss the enhancement of urban resilience through city parks, focusing on Seoul Forest, Children's Grand Park, and Bukseoul Dream Forest, which are major city parks in Seoul. To this end, first, we looked at how major city parks in Seoul responded to COVID-19 through operational management methods, and second, we looked at users' perceptions and usage patterns of city parks in the post-COVID-19 era. Examining the response and role of city parks in the era of COVID-19 suggests that proper maintenance and sustainable operation of parks is necessary in our society, which may face another disaster. City parks need to be used as a space that can be actively utilized and participated in to promote urban resilience beyond a green space that can no longer be view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