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유튜브 속 K-Pop 팬덤 콘텐츠의 유형화를 시도함으로써 팬덤의 향유활동의 지형을 구조적으로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 유튜브에서 활성화된 팬덤 콘텐츠는 상위구조에서 파생되는 하향식 콘텐츠와 팬덤이 생성한 상향식 콘텐츠가 모두 존재하나, 상향식 콘텐츠가 주를 이루며 역동적이고 주체적인 팬덤 향유활동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런 현상 속에서 본 연구는 팬덤의 생산적 양상에 주목하였으며 팬덤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을 모색하였다. 귀납적 원리를 이용하여 K-Pop 팬덤 콘텐츠 130개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팬덤 콘텐츠의 ‘생성 구조 형식’과 ‘생성 요소’를 기준으로 텍스트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팬덤 콘텐츠는 1차 콘텐츠를 기반으로 변형된 ‘1차 콘텐츠 기반 생성’의 형태와 팬덤이 새롭게 구성하여 만든 ‘새로운 콘텐츠 생성’의 형태가 구조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팬덤 콘텐츠의 생성 요소는 ‘지식적 정보’와 ‘감각적 정보’라는 두 가지 특징이 도출되었다. 결과적으로 ➀1차 콘텐츠 기반 생성-지식적 정보 ➁1차 콘텐츠 기반생성-감각적 정보 ➂새로운 콘텐츠 생성-지식적 정보 ➃새로운 콘텐츠 생성-감각적정보로 분류되었으며, 이를 팬덤 콘텐츠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유튜브K-Pop 팬덤 콘텐츠의 지형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ucturally suggest the topography of fandom’s enjoyment activities by attempting to categorize K-Pop fandom contents in YouTube. Fandom contents that are currently active on YouTube includes both top-down contents derived from a higher-level structure and bottom-up contents generated by fandom, but bottom-up contents are predominant, showing dynamic and subjective fandom enjoyment activit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ductive aspects of fandom and sought a standard for systematically classifying fandom contents. Using the inductive principle, 130 K-Pop fandom contents were set as research subjects, and tex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reation structure format and creation factors of fandom cont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rm of ‘creation of primary contents-based’ in which fandom contents were transformed based on primary contents and the form of ‘new contents creation’ newly composed by the fandom were structurally revealed. In addition, two characteristics of contents creation factors of fandom contents, ‘knowledge information’ and ‘sensory information’, were derived. As a result, it was classified as ➀creation of primary contents-basedknowledge information ➁creation of primary contents-based-sensory information ➂creation of new contents-knowledge information ➃creation of new content-sensory information, and this was exemplified through the case of fandom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