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전근대 신분제도 속에서 노비는 물적 자산으로서 타자화되는 가운데 소설 속에서도 상층인의 시각에 의해 주변적 존재로 형상화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런데 <화산선계록>에서는 다수 노비들을 등장시켜 그들의 활약상을 보여주고 있어 주목된다. 본고에서는 그들의 주체적인 모습을 적극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노비에 대한 재인식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화산선계록>은 고뇌하는 감정 주체, 영웅적 능력의 소유자, 고귀한 품성으로 도덕적 모범을 보이는 노비들을 부각시킴으로써 이들을 신분적 종속자가 아니라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한 인간으로서 형상화하고 있다. 또한 악한 시비조차도 의리와 인정을 지닌 존재로 조명함으로써 인간의 보편성을 긍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취에도 불구하고 노비들을 수단화하고 희생양으로 삼는 이중적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는 점에서 노비에 대한 상층 향유층 인식의 한계가 확인된다. 이에 이러한 변화가 위로부터 이루어진 것이기보다 당대 노비들의 지난한 투쟁을 통해 아래로부터 추동된 것임을 재확인하고 자발적 행위자로서 노비의 존재성을 새롭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In the status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the Nobi(奴婢) was typified as a material asset. Therefore, even in novels, most of them were embodied as peripheral beings by the view of the upper class.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the Korean classical long novel <Hwasanseongyerok華山仙界錄> shows many slaves and their active actions.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re-recognition of Nobi(奴婢) by actively interpreting their subjective appearance. <Hwasanseongyerok華山仙界錄> embodies them as a subjective and active human being, not a subordinate by highlighting the agonizing emotional subject, the heroic power owner, and the noble character who set a moral example. In addition, this novel affirms the universality of human beings by embodying evil maids as characters with righteousness and emotion. However, in spite of these accomplishments, there is a limit to the upper perception of the Nobi(奴婢) in that it shows a dual attitude of making the Nobi(奴婢) a means and a scapegoa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affirm that these changes were driven from below through the continuous struggle of the Nobi(奴婢) of the time, rather than from above, and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the Nobi(奴婢) as a voluntary sub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