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그레코-로만 전기의 세 가지 장르적 특성에 비추어 수로보니게 여인 에피소드(막 7:24-30)의 새로운 읽기를 제안한다. 그레코-로만 전기의 첫 번째 특성이자 가장 두드러진 특성은 주인공에 대한 집중적 관심이다. 수로보니게 여인 에피소드에 대한 기존의 해석들이 주인공 예수 자체보다는 수로보니게 여인을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온 점을 감안할 때 첫 번째 장르적 특성은 중요한 교정 역할을 제공한다. 수로보니게 여인에게 초점을 맞추는 ‘수로보니게 해석’은 흥미롭지만 복음서 장르에 민감하지 못한 해석이다. 더 나아가 이러한 해석은 마가복음의 전체 내러티브의 논조와도 어울리지 않는다. 반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주인공 예수 중심적 해석은 마가복음의 인접문맥뿐 아니라 원격문맥과도 잘 어울린다. 예수 중심적 해석이란 예수의 모진 발언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 거절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이방인 선교에 대한 가르침을 위한 일종의 신학적 포석이라고 주장한다. 그레코-로만 전기의 두 번째 특성은 비교/대조의 사용이다. 첫 번째 장르적 특성과 달리, 비교/대조의 사용은 주인공이 아닌 다른 인물들에게도 나름의 역할과 중요성이 있음 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비교/대조를 통해 수로보니게 여인이 다른 인물들에 비해 예수의 정체와 하나님 나라의 가치에 대한 원숙한 이해를 가지고 있음을 증명한다. 그레코-로만 전기의 세 번째 특성은 넓은 독자층을 상정하는 것인데, 이는 수로보니게 여인 에피소드의 다양한 메시지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즉, 예수가 전통적인 경계를 허물고 수로보니게 여인을 찾아간 것도, 예수의 발언이 이방인을 애초에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도, 외부인으로 여겨지는 수로보니게 여인이 실제로는 내부인과 같은 지혜를 소유한 것도, 하나님 나라 복음이 특정 계층이 아닌 많은 사람들에게 전해지길 원하는 장르적 특성을 잘 반영한다.


This article proposes a fresh reading of the episode of a Syrophenician woman(Mark 7:24-30) in light of the three genre characteristics of Greco-Roman biography. The first and foremost genre characteristic of Greco-Roman biography is a sustained focus on the protagonist. Given that previous researches tend to highlight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Syrophenician woman, this genre characteristic offers a meaningful correction to them. In a word, the interpretation that emphasizes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Syrophenician woman is interesting but not sensitive to the genre of the Gospels. On the contrary, the interpretation focusing on Jesus coheres not only with the immediate context but also with the larger context of Mark. This interpretation takes Jesus’ harsh words not as a simple refusal but as a strategic move for the deeper theological teaching. The second genre characteristic of Greco-Roman biography is the use of comparison/contrast. Unlike the first genre characteristic, the second one has a room for the role and importance of other characters. Through comparison/contrast, this article proves that the Syrophenician woman has a mature view of the identity of Jesus and the kingdom of God. The third genre characteristic is that Greco-Roman biography assumes the general readership rather than the specific readership. That Jesus crosses several boundaries in order to meet the Syrophenician woman, that even Jesus’ harsh words do not preclude Gentiles, and that the Syrophenician, a seeming outsider, has in fact the knowledge of an insider all point to third genre characteris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