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TA-인생태도 및 자아상태를 기반하여 텍스트로 표현된 개인의 감정을 명시적 의미 및 암시적 의미로 구분하여 상관관계를 증명하고자 한다. 감정분석 자료수집을 위해 자아상태 및 인생태도와 문장완성 검사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내담자 정보탐색을 위해 척도평가가 가능한 객관식 형태의 심리검사방법과 내담자의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한 투사적 심리검사방법을 병행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두 가지 형태의 심리검사의 장단점을 상호 보완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을 통한 방법으로 TA-인생태도 및 자아상태에 기반한 텍스트 감정 분석의 상관 관계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면적 감성 분석이 필요하였고 명시적, 암시적 감정분석을 통계적으로 상관관계를 증명하였다. 명시적 감정분석은 텍스트에 포함된 긍부정 감정값을 기록한 후 인생태도(또는 자아상태)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도출하였으며, 암시적 감정분석은 텍스트의 어휘(문구) 분석을 통하여 유의미한 경향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인 암시적 감정의 의미분석을 통하여 개별 내담자의 감정표현으로부터 숨겨진 수동성과 관계지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료가 많이 쌓이면 빅데이터 처리가 용이하게 되어서 자아상태 및 인생태도별 감정, 또는 어휘(문구) 분석 등이 가능한 초석이 되고자 본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correlation by dividing individual emotions expressed in text into explicit and implicit meanings based on TA-life position and ego-state. Ego-status, life position, and sentence completion tests were used to collect emotion analysis data. In many cases, a multiple-choice psychological test method capable of scale evaluation and a projective psychological test method capable of free expression of clients are used in parallel to search for information of clients. In this study, in order to complement and utiliz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two types of psychological tests that were not covered in the previous study, a correlation of text emotion analysis based on TA-life position and ego-state. was derive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multi-faceted emotional analysis was required, and explicit and implicit emotional analysis was statistically correlated. The semantic analysis of explicit emotions could be deriv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motions and life position (or self-state) by recording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values included in the text. The semantic analysis of implicit emotions derived a significant tendency through vocabulary (phrase) analysis of the text.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implicit emotions, which is the core of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hidden passivity and relationship orientation from the emotional expression of individual clients, and this study was proposed to become a cornerstone for self-state and life position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