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대학-직장 이행에 대한 긍정적 의미평가 및 부정적 의미평가, 진로적응성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대학-직장 이행에 대한 의미평가와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443명의 설문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모형을 검증하고, 부트스트래핑을 통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대학-직장 이행에 대한 부정적 의미평가의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대학-직장 이행에 대한 긍정적 의미평가 및 부정적 의미평가와 진로적응성은 순차적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불확실하고 모호한 상황에 대해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개인의 경향은 대학-직장 이행 과업에 대한 긍정적 의미평가 및 부정적 의미평가를 통해 진로적응성 자원의 활용을 방해하여 진로스트레스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meaning appraisal of college-to-work trans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uncertainty and career stres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43 colleg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SPSS 25.0 program, and the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using Process Macro and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direct effect of negative meaning appraisal of college-to-work trans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uncertainty and career stress was significant. Second, career adaptability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uncertainty and career stress. Third, there wer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meaning appraisal of college-to-work trans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uncertainty and career stres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