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조선중화기독교 평양교회의 역사를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교회는 1923년 설립 이후 총 네 변의 변혁기를 거치는데, 첫 번째 변혁기인 1928년까지 교회는 소학교를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며, 1928년 첫 목사가 부임해 옴과 동시에 학교의 운영권을 화교사회에 넘기고 전도에 집중하는 종교 공동체로 탈바꿈 된다. 이후 교회는 운산광산에 새로운 교회까지 세우는 등 이북지역 화교들을 찾아다니며 열심히 전도를 하며 성장해 나갔지만, 1931년 화교배척사건의 발발로 두 번째 변혁기를 맞이하게된다. 이때 예배당이 파괴되고 신자 대부분이 귀국하는 등 큰 위기를 맞는다. 하지만 이듬해 부임해 온 자오 목사를 중심으로 교회는 약 5년간 부흥과 성장을 거듭하며 안정된 지역 화교교회로 자리매김한다. 하지만 1937년 중일전쟁의 발발이라는 세 번째 변혁기가 찾아와 이때는 목사도 교인도 대부분 떠나버렸다. 다만 이때도 평양중화교회는 선교사들과 조선기독교인들의 도움으로 20여명이 출석하는 교회로 다시 살아날 수 있었다. 하지만 마지막 변혁기인 1941년의 태평양전쟁 발발 혹은 1945년의 해방 뒤 찾아온 공산화라는 짧은 시기 연이어 발생한 역사적 소용돌이 앞에, 평양중화교회는 결국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화교들에게 유난히 힘들었던 ‘일제시대’의 ‘평양’에서 중국교회가 20년 가까이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은 한ㆍ중 기독교인과 선교사들의 에큐메니컬한 협력 덕분이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study the history of Pyongyang Chinese church in Korea. From its establishment in 1923 to its shutdown around 1945, the church went through four times of transformation: 1928, 1931, 1937, and 1945. Pyongyang church was able to overcome the crisis each time with the help of various missionaries and local Christians, except for the last one. From its establishment, the church was operated as an elementary-school-centered church. With the arrival of the first pastor in 1928, the church was transformed into a religious-centered church and handed over the school to the Chinese society. The church faced the second transformation due to the outbreak of the anti-Chinese riot in 1931. The church building was destroyed and most of the believers returned to China. However, a fter new P astor Zhao c ame to t he c hurch in 1 9 32, t he church continued its revival and growth for five years until 1937. Unfortunately, this revival ended shortly with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thus introducing the third period of transformation. During this time, most Chinese, including the pastor, left, and only one or two families stayed in Pyongyang. However, the church was still able to revive with the help of missionaries and Korean Christians. Pyongyang Chinese church eventually disappeared into history when the communist North Korean government seized power in 1945. The Chinese church in “Pyongya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was exceptionally difficult for Chinese, was maintained for nearly 20 years mainly because of the ecumenical cooper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Christians and missiona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