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대중국어 인식양상 조동사 긍정형식은 ‘要, 得, 会, 能’ 등으로 비교적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이들의 부정형식은 ‘不会’를 대표적으로 사용한다. 본 논문은 중국어 인식양상 조동사의 긍정형식과 부정형식 간에 존재하는 이러한 비대칭 현상이 출현한 근본적인 원인과 관련 부정형식의 변천현상을 살펴보고자 통시적인 각도에서 인식양상 조동사 부정형식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先秦两汉시기부터 魏晋南北朝시기까지의 대표적인 문헌 18종에서 출현하고 있는 인식양상 조동사의 부정형식으로 사용된 ‘不能, 不可, 不得’의 변별기준을 설정하고 이들의 사용상황과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고찰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식양상 조동사의 부정형식의 변별기준으로 통사적 특징(주어의 인칭, 부사와의 공기, 대응적 표현)과 의미적 특징(조건, 사건 발생, 의미지향, 화자의 발화상 의도성, 청자에 대한 영향력, 주관성의 정도, 강제성)을 설정하였다. 둘째, ‘不能’, ‘不可’, ‘不得’는 주로 화자 지향의 외부적 조건에서 청자에게 명제의 진실에 대한 가능성을 드러냄으로써 청자가 어떠한 판단이나 생각을 하도록 의도성과 영향력을 드러내기도 하며, 주관성 또한 매우 높다. 또한, 화자의 주관적인 태도를 좀 더 드러내기 위해서 주로 대화문에서 조건절 형식에 출현하거나 양상부사, 시간부사 등과 공기하거나 견해나 추측의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와 함께 출현하여 화자의 주관적인 태도를 좀 더 강조하고 있다. 셋째, 先秦两汉시기에 ‘不能’, ‘不可’, ‘不得’는 이미 인식양상 조동사의 부정형식으로 출현하고 있으며 魏晋南北朝시기와 비교해보면 ‘不能’과 ‘不可’의 인식양상 비율은 다소 증가하고, ‘不得’의 인식양상 비율은 크게 감소한다. 당시 ‘不能’, ‘不可’, ‘不得’는 양상의 주요 역할기능이 분담되기 전이기 때문에 인식양상의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서 ‘가능’의 의미를 좀 더 드러내 주는 부사나 ‘가능’의 문맥을 만들어 준 여러 조건절 형식에 출현하여 인식양상의 기능을 보완하여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The positive form of auxiliary verb in modern Chinese is used in various ways as ‘yao(要), dei(得), hui(会), (neng)能’, but their negative form uses ‘hui(会)’ as a representative. This paper conducted a study on the negative form of the epistemic modality in order to examine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emergence of this asymmetry phenomenon between the positive form and negative form of Chinese epistemic modality. In this study, first of all, the discrimination criteria of ‘buneng(不能), buke(不可), bude(不得)’ epistemic modality appearing in 18 representative documents from the Pre-qin and Han dynasties to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were set, and their use and development process were examined. First, syntactic features(the subject's person, combination with adverbs, and corresponding expression) and semantic features(conditions, event occurrence, semantic orientation, speaker’s intention to speak, influence on listeners, subjectivity, and forcibleness) were set as criteria for discrimination. Second, ‘buneng’, ‘buke’, and ‘bude’ mainly reveal the possibility of propositional truth to the listener under external conditions of speaker orientation, indicating the influence and intentionality of the listener’s judgment or thoughts, and also have relatively high subjectivity. Third, when comparing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and the Pre-qin and Han dynasties, the ratio of the perception pattern of epistemic modality ‘buneng’ and ‘buke’ increased somewhat, and the ratio of epistemic modality ‘bude’ decreased significantly. At that time, ‘buneng’, ‘buke’, and ‘bude’ appeared in various conditional forms that created the context of ‘possible’ or ‘possible’ to show the meaning of epistemic modality, and it seems to have been used to supplement the function of epistemic mod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