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중국에서 ‘동북공정’을 공식 추진한 지 20년을 경과한 시점에서 동북공정과 중국 역사교과서의 상관 관계를 비롯하여 동북공정 전후 중국 역사교과서의 한국사 관련 서술과 인식에 어떠한 변화의 추이가 있었는지 재조명하고, 한중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우선 동북공정을 주도한 마다정의 ‘중국 역사교과서 중 고구려에 대한 표현법의 변화’에 의하면 ‘동북공정’을 공식화하기 이전부터 역사교과서 수정을 전제로 하고 있었고, 거국적인 준비를 기획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중국이‘동북공정’ 추진 이전부터 국가 차원에서 중국 역사교과서에 ‘동북공정’의 역사인식을 반영하고자 한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하나의 단서가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 의식에 기반하여 동북공정 입안과제 가운데 한중 역사 주요 현안으로 분류되는 고조선, 고구려, 발해, 근대 한중관계, ‘항미원조전쟁’ 관련 서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동북공정 입안과제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동북공정식 역사인식과 맥을 같이하는 ‘장성’ 관련 서술의 변화도 함께 다루었으며, 또한 전근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통시적으로 다루는 차원에서 일부 고려와 조선 관련 서술 내용도 포함시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동북공정’의 핵심 이론에 해당하는 ‘통일적 다민족 국가이론’이적용되어 1980년 교학대강부터 중국 역사교과서의 고구려 관련 서술을 소략화하면서 수·당의 고구려 전쟁이 삭제되었고, 발해사 관련 서술은 이보다 앞선1963년 교학대강부터 중국사로 편입한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발해사의 경우 1980년의 교학대강부터 중국 국경 내의 지방정권이었다고 주장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고조선 관련 서술의 경우도 중국사의 입장에서 한군현 설치가이루어졌던 한대를 고조선을 서술할 수 있는 중요한 시점으로 보고 전국시대와진, 한 대에 정국의 혼란을 피해 다수 중국인이 망명하였고 이 과정에서 연나라사람에 의해 위만조선이 건국되었다고 강조하여 동북공정의 역사인식과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임진왜란 관련 서술 기조 가운데 이른 바 중국과 조선의 ‘순망치한’ 관계를강조하는 내용이 포함되었으며, 근대에 해당하는 청일전쟁의 마관조약의 경우많은 교과서에서 마관조약 제1조 조선의 독립 문제를 거론하지 않았다. 특히 중국과 한반도의 종속관계에 대한 중국의 역사인식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같은 맥락에서 한국전쟁의 경우 미국이 한반도를 침략했고 북한의 요청으로 중국이 참전했다고 하여 중국의 참전 배경을 자국 입장에서 정당화하였다. 장성 표기와 관련하여 1982년판 중국 역사교과서에서 이미 장성의 동단이압록강까지 표시되어 있는 명대의 장성 지도를 사용하였다. 위의 한중 역사 현안 쟁점별 서술 내용을 통해 동북공정 이전부터 중국 역사교과서에 동북공정의 역사인식이 반영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동북공정 추진 이래 동북공정 논란으로 한중 관계가 악화된 이후 한중고구려사 왜곡 5개 항 구두양해를 고려하여 한중 간 민감한 문제를 기피하고자중국 교과서상 고구려와 관련된 내용이 축소되거나 삭제되었지만 여전히 쟁점별로 동일하게 ‘동북공정’식 역사인식을 반영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고구려뿐 아니라 한국 전근대사 관련 내용이 거의 사라졌고 근현대사 관련내용도 크게 축소되었다. 청일전쟁 관련 부분도 크게 감소했고 세계근대현대사에서 다루었던 의병전쟁, 3·1운동 등과 관련된 내용도 모두 사라졌다. 궁극적으로는 한족 중심의 중화문명을 내세운 중화주의적 역사인식이 확대되면서, 비서구·약소국 중화문명 우위의 문화전파론적 시각이 유지되는 가운데, 비서구·약소국의 역사를 주변화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동북공정 추진 후 10년이 경과한 시점인 2011년 말 중국 정부는 중국의 개혁 개방이 지속되면서 기존의 국가 중심의 역사인식에 도전하는 일부의 움직임을 우려하여 애국주의 정치교육으로서 역사교육을 더욱 강조하였다. 2012년 11월 중국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를 통해 집권한 시진핑 주석은 교과서 편찬이 국가 권한임을 밝히며 국가교재위원회 신설을 요구하였다. 이는 당시 주변정세로서 탈사회주의화, 소수민족 갈등, 빈부격차, 국제질서변동과 아울러 동아시아의 영토를 둘러싼 갈등과 역사 문제가 심화되었기 때문이다. 결국 시진핑 주석 집권 2기가 시작되는 2017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처음으로 국가교재위원회를 설립하였고, 중등 역사교육과 관련하여 국정화 방안을 공식 발표하였다. 새로 개편된 중국 역사교과서의 특징으로 영토주의 역사관,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일대일로 정책 등 중국공산당 지도부의 가이드라인을 강하게 반영하였다. 고구려와 발해를 포함한 한국사 관련 서술은 여전히 ‘동북공정’식 역사 서술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을 그대로 보이고 있다. 특히 중국 중심 동아시아 체제를“종번(宗藩) 체제”로 규정하고 조선을 중국의 번속국으로 서술한 내용이 새롭게추가되었다. 또한 한국전쟁을 의미하는 ‘항미원조’ 관련 서술 내용이 중국의 사회주의 국가체제 유지를 위한 중요 수단이 되는 가운데 고도의 애국주의, 혁명영웅주의를강조하는 데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미중 갈등 격화 속에 중국 측 입장을 반영한 한국전쟁을 중국인들의 단결을 촉구하기 위한 자극제로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양국의 전략 경쟁이 격해질수록 반미의식을 부추기는 수단으로 한국전쟁이향후 더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공교롭게도 한중수교 30주년을 맞이한 시점인 현재 한중수교 이후 10주년, 20주년에 비해 근래 양국 관계에 대한 부정적평가가 훨씬 높아졌다. 그 배경은 동북공정 전후 이러한 중국의 역사인식이 역사교과서에도 그대로반영되면서 양국 간의 역사 갈등이 지속, 확대되어온 현실과 맞닿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동북공정 전후 중국 역사교과서의 한국사 인식과 서술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외 학계가 공동으로 연구하며 교류하는 토론의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wenty years have passed since China officially implemented the “Northeast Project.” This study revisit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Northeast Project and Chinese history textbooks, the changes in the description and perception of Korean history in the textbooks after the Northeast Project, their impact and implications on Korea-China relation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description of Koguryo in Chinese history textbooks,” written by Ma Dazheng who led the Northeast Project, the revision of history textbook was presupposed and prepared on a national scale since even before the official launch of the project. This can serve as an important clue to reveal China’s intention to incorporating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Northeast Project” into Chinese history textbooks. This study, based upon such awareness, discusses the descriptions about Gojoseon, Koguryo, Balhae, modern Korea-China relations, and the Korean War. This article also touches upon the changes in the description of the “Great Wall” which has the same context as the project’s historical perception, although it is not part of the agenda of the Northeast Project. Furthermore, some descriptions of Goryeo and Joseon have also been included in the scope of this study in order to discuss the premodern and modern history diachronically. The “unified multi-ethnic nation theory,” which is the key of the “Northeast Project” was applied to China’s history education, starting from the curriculum of 1980 to abbreviate the description of Koguryo and omit Sui and Tang’s war against Koguryo. Balhae history was incorporated into Chinese history even earlier, starting from the 1963 curriculum. The Chinese curriculum in the 1980 educational program began stating that Balhae had been a local government located within the border of China.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Northeast Project can also be observed in the description of Gojoseon. The history textbooks see the Han period when the Four Commanderies of Han were installed as the key period to describe Gojoseon from the Chinese point of view. The textbooks emphasize that Wiman Joseon was founded while many Chinese people were seeking asylum from the political turmoil during the Warring States, Jin and Han periods. The description of the Imjin War st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China, represented by the idiom, “without the lips, the teeth feel the cold.” When it comes to the modern history, many textbooks do not mention Article 1 of the Shimonoseki Treaty which stipulates the independence of Joseon as part of their description about the Sino- Japanese Wa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fact that the textbooks reflect China’s historical perception regarding the 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China. In the same context, the textbooks justify China’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from China’s point of view by stating that the United States invaded the Korean Peninsula and started the Korean War, and North Korea requested China to enter the war. Chinese history textbooks published in 1982 used the map of the Great Wall from the Ming Dynasty which marks the Amnok River as the eastern end of the Great Wall. The descriptions of different historical issues between Korea and China show that Chinese history textbooks were already reflecting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Northeast Project even before its implementation. As Korea-China relations were aggravated due to the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Northeast Project, the descriptions about Koguryo in the Chinese textbooks have been abbreviated or removed to avoid conflict over sensitive issues in consideration of the oral agreement on five items regarding the distortion of Koguryo history. However,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Northeast Project still persists in the textbooks. Descriptions of not only Koguryo but also the premodern history of Korea have mostly gone and the information about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has also been reduced to a great extent. The explanation about the Sino-Japanese War has been minimized as well. The textbooks no longer discuss the Righteous Army War and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which used to be taught as part of the world modern history. China is expanding the Sino-centric view of history that puts forward the Chinese civilization centered around the Han Chinese while maintaining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ffusionism where the Chinese civilization holds a dominant position and thus marginalizing the history of non-Western and small nations. In late 2011 when ten years had passed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Northeast Project, the Chinese government was concerned about some movement that challenged its state-centric historical perception with the continuous reform and opening of the country and consequently began to emphasize history education as part of patriotic political education. Xi Jinping who came to power during the 18th National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CPC) in November 2012 requested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textbook committee, arguing that the publication of textbooks falls within the scope of government authority. This was because territorial and historical issues in East Asia were intensifying in conjunction with postsocialism, conflict with minority groups,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and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order. In 2017, when Xi Jinping started his second term, National Textbook Committee was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found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China officially announced its plan to standardize history textbooks for middle school education. The new edition of Chinese history textbooks strongly reflect the territorialist view of history, the unified multi-ethnic nation theory, One Belt One Road Policy, and other guidelines defined by the leadership of the CPC. Their description about Korean history, including Koguryo and Balhae, still presents issues associated with the historical view of the “Northeast Project.” In particular, the textbooks define the East Asian system as a “tributary system” and describe Joseon as a subordinate of China. The description about “anti-America and pro-Joseon” efforts, meaning the Korean War, is an important tool to maintain the socialist system of China, being used to put emphasis on strong patriotism and revolutionary heroism. It shows that the country is utilizing its own story about the Korean War as a stimulant to urge Chinese people to stand in solidarity while its conflict with the US is intensifying. It is predicted that the Korean War will gain more importance as a tool to encourage anti-US sentiment as the two countries’ strategic competition aggravates further. This year marks the 3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China, but the two states’ relationship is in a worse shape than what we had 10 and 20 years earlier. China’s view of history, demonstrated by the Northeast Project, is bluntly reflected in the Chinese history textbooks, contributing to the continuation and intensification of the historical conflict between the two nations. Now, therefore, is the time for scholars in and outside of Korea to study, interact, and discuss with one another to find solutions to the issues surrounding the description and perception of Korean history in Chinese history text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