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1902년 전라남도관찰사 이근호가 전라남도 전역에 배포한 『保民鄕約』 자료를 바탕으로 保民鄕約의 운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19세기 말 전라남도는 거듭된 민란과 동학의 확산, 새로운 사상의 유입 등을 겪으며 혼란이 지속되었다. 무너진 기강과 풍속을 바로잡고 향촌민들을 교화시킬 수 있는 방책이 필요했으며 1902년 9월, 전라남도관찰사 이근호는 전라남도 전 지역에 보민향약을 시행했다. 전라남도 보민향약의 자료는 광양군, 장흥군, 장성군 등지에서 총 19개가 확인된다. 보민향약은 조목의 내용에 따라 「官約」, 「面約」, 「罰約」, 「講約」, 「追約」으로 나뉘어 작성되었다. 「관약」에서는 호적과 세금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어, 보민향약의 관치적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면약」에서는 五家作統制와 松契, 社還制 등 면내 제도와 향촌민간 相互扶助 등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벌약」에는 가장 많은 조목이 포함되었는데, 가족간 윤리, 사회 풍속 윤리 등을 담아 사회의 질서를 바로잡고자 했으며, 죄의 경중에 따라 上罰, 次上罰, 中罰, 次中罰, 下罰로 구분하였다. 「강약」에서는 講會 운영에 대해 다뤘다. 각 군에서는 매년 2회, 각 면에서는 매달 강회가 열렸다. 강회에서는 강독과 시험이 진행되었으며 평가에 따라 賞罰이 부여되었다. 「추약」에서는 관의 지원과 임원에 대한 조목이 제시되었다. 관에서는 보민향약 자료와 함께 100량의 지원금을 각 군에 내렸다. 그리고 광양군, 장흥군의 보민향약 자료를 통해 군에서는 보조금과 약원들로부터 거둔 회비를 모아 향약 운영비로 사용했고, 식리하여 재정을 관리했음을 알 수 있다. 각 군에서 확인된 보민향약 자료의 조목은 모두 동일한 반면, 장흥군에서는 강회와 선과적에 관한 조목을 보충했다. 강회에서 선과적을 검토하고 상벌을 내렸는데, 이를 통해 다른 지역에 비해 향약의 교화적 기능이 강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민향약의 조목을 바탕으로 그 특징을 살펴보면, 향약의 지방행정 보조적 역할이 확대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향약은 본래 행정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기도 하는데, 보민향약에서는 보다 자세히 세금, 호적 등에 대한 내용을 담았으며 관의 역할을 조목에 명시했다. 또한 관찰사는 보민향약과 함께 지방통제장치인 오가작통제를 실시하여 군으로부터 각 면, 리, 통, 정까지 긴밀하게 연결시키고자 했다. 오가작통제는 호적 보완의 기능, 鄰保의 기능, 부세 수납기구의 기능 등을 하며, 향촌 운영의 기초 단위로 역할했다. 그리고 각 지역 단위에까지 향약의 영향이 미칠 수 있도록 했으며 지역 내 행정 업무를 보완하였다. 1902년, 보민향약이 시행된 시기는 근대적 변혁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그러나 보민향약을 살펴보면 향약 조목이 오히려 전통적 질서에 기반을 둔 것을 알 수 있다. 신분제가 폐지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신분을 구분했으며, 향약의 4대 덕목, 相扶相助, 尊長者에 대한 예절을 조목에 포함했다. 그리고 향촌사회에서 士農工商을 구분하여 직분을 다할 것을 중시하였는데, 선비에게는 과거가 폐지되었음에도 舊學에 매진할 것을 언급하고 있다. 또한 시벌을 통한 통제와 교육을 통한 교화에서도 유교적 질서가 그 기반을 이루었다. 향촌을 다시 일으키고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시대상에 따라 새로운 질서보다는 추구하기보다는, 종래의 성리학적 질서를 바탕으로 하여 사회를 안정시키고자 했다. 이와 같이 1902년에 시행된 보민향약을 살펴봄으로써 관찰사가 향촌통치에서 향약을 어떻게 활용하고자 했는지 그 지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about ope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Bomin Hyangyak(保民鄕約) in Jeollanam-do, based on the data from “Bomin Hyangyak” distributed by the Governor of Jeollanam-do Province, Lee Geun-ho(李根澔).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Jeollanam-do province suffered repeated civil unrest, the spread of Donghak, and the influx of new ideas, and confusion in the hyangchon community continued. Measures were needed to correct the discipline of the collapsed society and edify the hyangchon residents. In September 1902, the Governor of Jeollanam-do Province, Lee Geun-ho implemented Bomin Hyangyak throughout Jeollanam-do Province. The primary sources related to Bomin Hyangyak were identified in Gwangyang-gun, Jangheung-gun, and Jangseong-gun, and so on. And a total of 19 sour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sources, Bomin Hyangyak was divided into 「Gwanyak(官約)」, 「Myeonyak(面約)」, 「Beolyak(罰約)」, 「Gangyak(講約)」 and 「Chuyak(追約)」. The 「Gwanyak」 contains information on family registers(戶籍) and taxes. So you can look at the administrative characteristics of Bomin Hyangyak. 「Myeonyak」 contains information on organizations, systems, and mutual assistance between local residents such as Ogajaktongjae(五家作統制), Songgye(松契), and Sahwanje(社還制). 「Beolyak」 includes the largest contents like family ethics, social ethics, and to correct public order with the reward and punishment in accordance with the gravity of the offense. And the 「Gangyak」 handled the operation of the Ganghwae(講會). Gwanghwae was opened twice a year in each gun and every month in each myeon. It was given reward and punishment in accordance with the evaluation and test conducted in Gwanghwae. 「Chuyak」 in against executives of support and information was provided. The government office issued 100 subsidies to each local along with the 『Bomin Hyangyak』. Throughout the sources of Bomin Hyangyak in Gwangyang-gun and Jangheung-gun, it was confirmed that the operating expenses of Hyangyak were composed of subsidies and membership fees collected from Yakwon(約員). While the contents of the Bomin Hyangyak found in each region were all the same, Jangheung-gun supplemented the sections about the Ganghwae and Sungwajuk(善過籍). In Jangheung-gun, when having a Ganghwae, reviewed the lineage and punished or prized. It is emphasized the role of the edifying people compared to other regions. The characteristic which can be seen in Bomin Hyangyak is that the role of administrative assistance has expanded. Hyangyak originally assists the administration to proceed smoothly, but Bomin Hyangyak contains more details on taxes and family registers(戶籍), indicating that the administrative and auxiliary roles have been strengthened compared to conventional Hyangyak. In addition, the governor tried to closely connect the county to each side, Ri, Tong, and Jeong by performing Ogajaktongjae, a local control device, along with Bomin Hyangyak. Ogajaktongjae functions as a supplement to the family register, a function of neighboring, and a tax storage organization, and served as a basic unit for the operation of local villages. In addition, it allowed the influence of Hyangyak on each regional unit and supplemented the administrative work in the region. In 1902, the period when the Bomin Hyangyak was implemented was the period of modern transformation. However, looking at the Bomin Hyangyak, it is rather based on the traditional order. Despite the abolition of the status system, the status was classified in Bomin Hyangyak. Also, the four virtues of Hyangyak presented by Yeossi Hyangyak, the mutual aid of the Hyangchon private sector, and etiquette for the eldest were included in the contents. In addition, the hyangchon community emphasized that the private farming and commerce should be done by dividing them into their duties, and at this time, the scholar mentioned that they should focus on the old study(舊學) even though the Gwageoje(科擧制) was abolished. Even when edification and control measures, which are the functions of Hyangyak, played a role, Confucian order was the basis for punishment and education. In order to reestablish hyangchon and correct discipline, rather than pursuing a new order according to the times, it tried to stabilize society based on the existing Confucian 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