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강희연간 청은 정씨 정권을 굴복시키고 대만을 자신들의 통치권으로 편입시켰다. 그러나 군사적인 성공이 대만 통치의 완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대만 사회는 여전히 반란 세력이 움트고 있었으며, 자력구제는 청대 대만 백성들 사이에 잠재하고 있는 가장 중요하고 일상적인 원칙이 되었다. 대만 통치의 현실적인 관건은 조속히 치안 체제를 구축하고 자원과 생산 체제를 청의 영향력 아래에 둘 수 있을 것인지에 달려 있었다. 분류계투는 청대 중후반 대만에서 나타난 사회 현상이자 청 통치 하의 대만이 자력구제 사회임을 보여주는 척도라고 할 수 있다. 즉 계투의 원인은 종족 간의 갈등이나 토지 소유권과 같은 이권 분쟁을 비롯하여, 도박이나 사소한 언쟁이 계투의 도화선이 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원인에서 기인한다. 정치적 목적과 배경이 없는 사회적 폭력으로써 계투는 청대 통치자와 피통치자의 관계를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청의 통치와 함께 대만에 대거 유입된 한인들은 급속히 대만의 토지를 개척 및 점유하였으며, 원주민뿐만 아니라 같은 한인과도 경쟁하였다. 경쟁 속에서 대만의 이주민은 처음에는 출신에 따라 배타성을 가진 집단을 결성하였으며, 개척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이해관계 및 이권에 따라 경쟁과 갈등의 성격도 바뀌어 갔다. 대만 동부 갈마란 지역은 가경연간 이후 개척이 이루어진 지역으로 이 지역의 개척은 민선관후(民先官後)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갈마란의 분류계투와 그 변화 양상을 보면, 대만 사회에서 토지의 소유권이 점차 명확해지고 이에 따라 사회 갈등과 분쟁 역시 토지보다는 점차 집단의 이해관계와 세력을 위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In the middle of the Qing Dynasty, Qing Goverment subdued the Koxinga's regime and incorporated Taiwan island into its own sovereignty. But military success did not mean the completion of Taiwan's rule. Taiwanese society was still dominated by rebel forces, and self-rescue became the most important and ordinary principle latent among the Taiwanese people of the Qing period. The practical key to rule a Taiwan was whether to establish a social stability as soon as possible and incorporate resources and production systems into the authorities system. Internecine strife (hsieh-tou)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social phenomena that emerged in 17-18th century Taiwan and one of the examples that Taiwan is a self-rescue society. In other words, the causes of the Internecine strife are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immigrant’s origin and land ownership, as well as gambling and minor arguments that trigger the fight. As social violence without political purpose and background, Internecine strife clearly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ler and the governed. With the rule of Qing, the Fujians who flowed into Taiwan rapidly pioneered and occupied the wild land of Taiwan, competing not only with the natives but also with the same Fujians. In the competition, Fujians initially formed a group with exclusivity according to their origins, and the nature of competition and conflict changed according to interests and interests in the process of pioneering. The Kavalan area in eastern Taiwan was pioneered only during the late 18th century, and the pioneering of this area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People first and later officials”. Looking at the Internecine strife of Kavalan and its changes, it can be seen that the ownership of land in Taiwanese society is gradually becoming clear, and social conflicts and disputes are gradually changing based on the interests and power of groups rather than 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