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를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 비난과 거부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인천을 위주로 하여 만 18세∼35세의 성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2022년 2월 21일부터 2022년 3월 2일까지 온라인플랫폼을 이용하여 자기 보고식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설문 응답 중 최종 392부를 SPSS 25.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version 4.0(Model 6; Hayes, 2018)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 간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 비난, 거부 민감성,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모든 변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 비난의 단순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거부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거부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넷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기 비난과 거부 민감성을 순차적으로 거쳐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으로 가는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내면화된 수치심의 성향을 지닌 초기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치료를 위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bl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in early adulthood. For this purpose, adults between the ages of 18 and 35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mainly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nd data were collected in a self-report method using an online-platform from February 21, 2022 to March 2, 2022. was collected. The final 392 copies of the collected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PROCESS macro version 4.0 (Model 6; Hayes, 2018).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internalized shame, self-blame,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all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in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e significance of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self-blame was not found.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was confirmed. Fourth, the path from internalized shame to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rough self-bl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n empirical basis for the treatment of social interaction anxiety in early adults with internalized shame tend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