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최근 들어 BL 웹소설 분야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소재 및 서사 구조의 특성을 통해 사랑에 대한 욕망과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특히 2010년대 중반, 즉 페미니즘 대중화 시점을 기점으로 희생과 폭력성을 근간으로 하는 기존 BL 내 사랑의 묘사가 문제화되고 있음을 포착했다. 사랑은 점차 소통과 조율의 기예로 그려지거나, 혹은 오메가버스 세계관과 같이 사랑의 운명 구조의 양가적 양상과 틈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등장하고 있다. BL에서 두드러지는 성애 표현에 있어서도 사랑과의 필연적 연계가 강조되는 경향이 남아 있는 한편, 사랑과 유리되는 성애적 쾌락을 하나의 성적 지향으로 제시하는 경향도 새롭게 관찰된다. BL 장르의 사랑 재현 방식은 결혼이라는 제도 및 억압과 밀접하게 결합된 낭만적 사랑의 후면을 전경화하면서 사랑의 유일성 환상에 대한 양가감정을 표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the desire and perceptions of love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structures that have recently become popular in the field of BL web novels. In particular, it captured the fact that issues were being raised regarding descriptions of love in existing BL based on sacrifice and violence in the mid-2010s when feminism was becoming popular. Love is now gradually being portrayed as an art of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or it is emerging in ways that reveal the ambivalent aspects and gaps of the fate structure of love, such as in the ‘Omegaverse’. While the emphasis tends to remain on the expression of sex as having an inevitable connection with love, a characteristic that stands out in BL, tendencies to present sexual pleasure as a sexual orientation that is separated from love are also newly observed. Reproduction issues in the BL genre were found to express ambivalent feelings about the illusion of the uniqueness of love while foregrounding the shadows of romantic love being closely combined with the systems of marriage and op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