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여성 최다 국회의원이 당선된 2020년 제 21대 국회의원 선거보도를 2000년도 제 16대 국회의원 선거보도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여성 정치인이 증가한 상황이 미디어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분석을 위해 한국의 대표적인 공영방송인 KBS의 메인 뉴스프로그램인 <뉴스9>의 리포트 120개 리포트를 표집해 441개 사운드바이트를 내용분석했다. 분석 결과 16대 총선에서 4.8%였던 공영방송 선거보도 사운드바이트에서의 여성취재원 비율은 21대 총선에서 9.5%로 증가해 16대 총선보다 21대 총선 선거보도 사운드바이트에 등장하는 여성취재원 비율이 더 높아졌다고 볼 수 있었다. 선거보도에 어떠한 집단 소속 여성들이 등장해 어떠한 발언을 했는지 분석한 결과 16대 총선 뉴스에 여성 국회의원 후보가 등장한 경우는 2건에 불과했고 여성은 의정 활동의 주체가 아닌 유권자로 정치뉴스에 등장한 것으로 분석됐다. 여성 최다 국회의원인 59명이 당선된 21대 총선에서도 선거보도에 국회/정당 소속으로 보도된 여성은 12건으로 절반에 그쳤으며 나머지 12건은 유권자 등 시민으로 뉴스에 나왔다. 여성 전문가는 선거보도에 단 한 명도 등장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선거보도에서의 여성취재원 인용이 기자의 성별과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했고 분석 결과 2000년에는 선거 뉴스를 보도한 여기자가 전혀 없었지만 2020년에는 36건의 뉴스를 여기자가 보도했고 여기자가 여성취재원을 더 많이 인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자 성별과 기사에서의 여성취재원 인용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과거 금녀의 영역으로 여겨졌고 아직도 여성 진출에 제약이 큰 정치분야, 그 중에서도 시민들이 가장 관심을 갖고 보는 선거보도에서 여성취재원을 어떻게 활용했는지 알아봤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분석 기간과 매체를 늘려 연구를 진행하면 더 의미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This study analyzed how female sources were represented in the election reports in the 16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news when the political candidates’ gender quota system was first introduced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21st national assembly election news. For analysis, 120 reports of <News 9>, the main news program of KBS, a representative public broadcaster in Korea, were sampled and 441 sound bit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roportion of female sources in the public broadcasting election news increased from 4.8% in the 16th election to 9.5% in the 21st election. Next, to find out the representation pattern of female sources, the group belonging to the female sour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mark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16th election news, only two female election candidates appeared on news. In the 21st general election, where 59 female lawmakers were elected, only half of the women were reported as a politician in election reports, and the other half was on the news as citizens. In the 21st election reports, as well as the 16th election reports, not a single female expert appeared in the election report.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citation of female sources in election reports was related to the gender of reporters,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no female reporters who reported election news in the 16th election, but 36 election news was reported by female reporters in the 21st election, and the use of female sources in articles was related. This study sheds light on figuring out how female sources were represented in the political field, which has a high hurdle for entering women, and it is suggested that more meaningful research results can be obtained by increasing the analysis period in the future. Further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