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여대생의 음식갈망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11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고 그 결과를 개념도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여대생의 음식갈망 촉발요인 핵심문장 99개와 음식갈망 조절 도움요인 핵심문장 77개를 도출하였다. 이를 기초로 다차원척도분석 및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 여대생들의 음식갈망 촉발요인은 ‘구체적 및 추상적 요인’ 축과 ‘직접적 및 간접적 요인’ 축의 2차원으로 요약되었고, 4개의 군집(음식 자체의 유인가, 스트레스, 자기 정당화, 음식에 대한 심상 및 호기심)으로 구분되었다. 한편, 이들의 음식갈망 조절 대처방식은 ‘소극적 및 적극적 대처’ 축과 ‘내부 및 외부 조절’ 축의 2차원으로 요약되었고, 3개의 군집(부정적인 결과 떠올리기, 건강한 한 끼 잘 챙기기, 조절의 필요성 찾기)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대생들의 음식갈망 촉발요인과 대처방식을 그들의 고유한 시각에서 파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that provoke food cravings and how people handle intense food cravings to further prevent obesity and eating disorders in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A total of 11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re- cruited for two in-depth interviews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 The results revealed a total of 99 and 77 core statements for food cravings and for helping control food cravings, respectively. For analysis,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showed food-craving provoking factors consisted of two dimensions: ‘concrete and abstract factors’ and ‘direct and indirect factors,’ and wer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a) valence of food itself, (b) stress, (c) self-justification, and (d) im- agery and curiosity about food. Also, factors helpful in regulating food cravings were divided into two dimensions: ‘passive and active response’ and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with three distinct clusters: (a) recalling negative results, (b) keeping a healthy meal, and (c) finding the need for control.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explored different features of food craving experi- ence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specifically in a non-clinical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