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 OTT 연구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OTT 연구의 방향을 짚어보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OTT 연구의 일반적 특성(게재 학술지, 연구추이), 내용적 특성(연구주제, 주요 이론), 그리고 방법적 특성(연구방법, 연구대상)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OTT 연구는 2019년부터 증가하기 시작했고, 신문방송학과 복합기타학을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OTT 이용과 효과를 주제로 한 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이론/모델의 활용보다 개념적프레임워크를 활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국내 OTT 연구는 양적 방법론이 지배적으로 활용되었고 혼합적 방법론은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되었다. 연구대상 OTT 서비스는 이용자 제작 콘텐츠 및 광고 기반의 OTT 서비스, 그 중에서도 유튜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OTT의 개념화 및이론화에 대한 연구, 능동적 이용자의 특성 및 세분화에 대한 연구, 정책/법제를 주제로 하는 연구와 OTT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연구, 그리고 생산자 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여러 주제와 이론, 그리고 방법론을 기반으로 연구되고 있는 OTT 연구를 종합하는 시도로서 학술적 의미를 가진다.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situation in which the interest of the academic community is increasing and a number of studies are being conducted as the use of OTT services increases.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of OTT services studies and to point out the direction of future OTT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publication journals, research trends), content characteristics(research theme, major theories),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research methods, research subjects) of OTT research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TT research in Korea have begun to increase in 2019. Second, it has been conducted focusing on research on the theme of OTT use and effects. In addition, there was a tendency to utilize a conceptual framework rather than a theory/model. Third, a quantitative methodology has been used dominantly, and mixed methodology has been used very little. The OTT service studies have centered on user-generated content and advertisement-based OTT service, specifically YouTube. Through the abov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conceptualization and theorization of OTT services, the characteristics and segmentation of active users, policy/legislation themes, analyzing content provided by OTT services, and producer studies.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as an attempt to synthesize OTT research that is being studied based on various themes, theories, and methodologies in various academic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