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해조의 『옥중화』는 판소리를 산정하여 『매일신보』에 연재한 소설로 단행본으로 발행되자마자 큰 인기를 끌었다. 이도영은 1913년에 간행된 재판본에 표지화를 그린 이후, 『옥중화』가 중판을 거듭할 때마다 새로운 삽화와 표지화를 제작하면서 소설책의 인기를 견인하였다. 이도영의 그림은 1913년에 간행된 재판에 표지화로 처음 등장하였고, 1914년에는 조중환의 번안소설 『불여귀(不如歸)』를 참고하여 새로 그린 표지화와 함께네 장의 삽화도 추가되었다. 이후 삽화는 열 한 장까지 늘어났고 이도령과의 사랑을 지키기 위해 수난을 겪는 춘향의 모습을 강조하여 연애소설의 성격을 부각하였다. 또 『옥중화』의 이본으로 1914년 간행된 『옥중가인』에는 등장인물을 차례로 소개하는 삽화와배우들의 군무를 그린 듯한 삽화들이 추가되었는데 이는 당시 유행했던 창극의 영향을보여준다. 이야기의 서사를 시각화하는 출판미술 활동은 고사인물화 제작에도 영향을 미쳤다. 1922년작 <석굴수서도>는 『삼국사기』에 실린 김유신의 고사를 다룬 것으로서, 도상의전례가 없는 서사를 도해(圖解)하였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역사 설화를 소재로 하고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대중적이고 교훈적인 이야기에서 독자적인 도상을 창출한 이도영의 그림들은 1930~40년대 정종여, 김기창 등의 <춘향도>의 출현을 예고하는 것으로 주목된다.


Okjunghwa(獄中花), a novel published serially in Maeilshinbo, by Yi Haejo surged in popularity as soon as it was published as a book. Paintings by Yi Doyeong appeared as the cover image of the second edition in 1913 and 4 illustrations were added as it was replaced with a new cover image made by referring to Bulyeogwui(不如歸), an adaptation by Jo Junghwan. After that, the illustrations increased by 11 and the nature of the love story was magnifi ed by emphasizing Chunhyang who is through unspeakable sufferings to keep her love for Yi Mongryong. And when Okjunggain(獄中佳人) was published as a different version of Okjunghwa, Yi Doyeong additionally made illustrations that introduce characters in order and illustrations with their group dance. Th ey show eff ects of the Korean traditional operas that were popular at that time. Publication and art activities that visualize narratives of stories had an effect on Yi Doyeong’s narrative fi gure paintings. Seokgulsuseodo(1922) deals imaginatively with Kim Yusin’s narrative in Samguksagi (History of the Th ree Kingdoms). It is noticeable in that it unprecedentedly explained the fi gure with the painting and is based on the Korean historical t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