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재 패션디자인은 다양한 디지털 기술과 패션의융합으로 새로운 형태의 디자인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 속에서 패션디자인 분야에서는 레이저 컷팅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꾸뛰르나 패션아트 등 제한적인 용도로활용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디자인에서 레이저 컷팅 기법을 활용한 독창적인 의상 제작및 텍스타일 패턴디자인을 통하여 실용화 될 수 있는디자인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성복시장에 있어서 레이저 컷팅 기법을 활용한 의상 제작의 대중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 조형 요소의 개념과 이를 시각화하기 위한 자료를 분석하고, 패션디자인에적용된 사례를 조사하였다. 둘째, 기초 조형 요소인점, 선, 면을 활용하여 디자인 컨셉을 도출하고 레이저 컷팅 기법을 활용하여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샘플6종을 제작하고 인장강도 테스트를 실시하여 샘플 3 종을 도출하였다. 셋째,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샘플 3 종이 적용된 케이프 의상디자인 작품을 제작하였고, 3D모델링을 진행하여 디자인과 실루엣을 확인하였다. 넷째, 레이저 컷팅을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케이프 의상디자인 작품 3점을 제작하였다.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출된 케이프 의상 3종은 마름질, 재봉 등의 전통적인 의상 제작 프로세스에서 벗어나 모든 과정을 디지털화하였다. 둘째, 디지털과 패션의 융합 연구는 대량 생산 프로세스에 최적화된 디자인을 연구하여 패션 산업 분야에 실제 적용될 수있는 창의적인 디자인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456 -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소재와 아이템을 활용한 경쟁력 있는 창의적인 디자인 제시와 더불어 패션 산업에서의 다양성 확장을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urrently, fashion design is presenting a new type of design through the convergence of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and fash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se digital technologies, various studies using aser cutting technology are being conducted in the field of fashion design, butit is being used for limited purposes such as couture and fashion ar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esign that can be put to practical use in fashion design through creative clothing production and textile pattern design using laser cutting techniques. Through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help popularize the production of costumes using laser cutting techniques in the ready-to-wear market.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i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basic formative elements and data for visualizing them are analyzed, and cases applied to fashion design are investigated. Second, a design concept is derived using the basic formative elements of points, line, and plane, and six types of textile pattern design samples are produces using laser cutting techniques, and 3 types of samples are derived by conducting a tensile strength test. Third, the cape costumes design work is produced with three types of textile design samples applied, and the design and silhouette are confirmed through 3D modeling. Fourth, by utilizing laser cutting, three cape costumes design works are finally produced. The research contents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types of cape costumes digitalized all processes, breaking away from traditional clothing manufacturing processes such as cutting and sewing. Second, the convergence research of digital and fashion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design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to the fashion industry by studying a design optimized for the mass production process. In the follow-up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competitive designs using more diverse materials and items can b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