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의 행복에 개인요인(성별, 자아개념, 수면시간, 고민을 나눌 사람 유무, 학교성적, 삶의 만족도, 건강에 대한 인식), 가정요인(부학력, 모학력, 경제수준), 학교요인(학교생활에 대한 인식과 학교생활 만족도)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 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1단계 모델은 개인요인을 독립변인으로 투입하였고, 2단계는 가정요인을 추가하였고, 3단계는 학교요인을 추가 투입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주관한 2019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중·고등학생용) 응답자료였고, 이 중 결측치를 제외한 중학생 2,054명, 고등학생 2,706명만 연구를 위한 분석에 포함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과 고등학생 결과에서 1단계 개인요인 중 건강에 대한 인식, 학교성적, 자아개념, 삶의 만족도, 3 단계 학교요인 중 학교생활 만족도가 공통적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였다. 이 외에도 중학생의 경우 가정요인의 부학력, 학교요인 중 학교생활에 대한 인식, 고등학생의 경우 개인요인 중 수면시간과 주변에 도울 사람 유무 변인이 추가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1단계 개인요인의 행복에 대한 설명량이 가장 컸다. 또한, 중학교, 고등학교 결과에서 모두 2단계 가정요인에 의해 추가된 설명량 보다는 3단계 학교요인의 추가된 설명량의 크기가 더 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 factors (gender, academic achievement, self-concept, sleeping time, presence or absence of someone who shares worries, life satisfaction, and judgment about one’s health), family factors (father’s education level. mother’s education level, and economic status), and school factors(perception of school life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on the adolescents’happines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put into the model,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factors. This study used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s ‘A study on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2019 (middle, and high school). The number of middle school participants was 2,054, and the number of high school participants was 2,706.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academic achievement, self-concept, life satisfaction, judgement about one’s health, and school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econd,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father’s education level and perception of school life were significant. For high school, sleeping tim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someone who shares worries were additionally significant.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dolescents’ happiness was mostly explain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School factors resulted in more happiness than family factor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