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행정 각 부의 장관의 의사결정은 좁게는 부처의 조직성과, 넓게는 시민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친다.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는 대한민국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교육부 장관에게 개학과 등교시점에 대해서 전례 없는 선택을 할 수밖에 없게 했다. 교육부 장관은 언제, 어디서, 얼마나 많은 감염자가 나올지 모르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의사결정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에 있었던 교육부 장관의 학교운영에 대한 의사결정을 이론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앞으로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 확률도 모르는 불확실성하에서의 의사결정기준으로 크게 최대최대기준, 최대최소기준, 최소최대후회기준, 후르비쯔 기준 그리고 라플라스기준이 있다. 본 연구는 위의 5가지 기준을 토대로 교육부 장관의 의사결정을 파악하였다. 이론적인 분석결과, 안전을 결과로 상정할 경우에는 휴교를, 학습량을 결과로 상정할 경우에는 정상등교라는 결정을 내린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앞으로 있을 수 있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합리적인 리더는 구성원에게 의사결정에 도달하게 된 과정을 설명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Ministers of each government department play a key role in determin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well as overall quality of citizens’ life. COVID-19 created the unprecedented crisis for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inister of education had to make a tough choice against an uncertainty in which nobody can predict what will happen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heoretically examine the decision-making of the minister of education in 2020. In the this circumstance, decision maker could utilize 5 criteria: Maximax, Maximin, Laplace, Hutwiz, and Minimax regret criterion. Theoretical investigation suggests that the minister of education would choose shutdown if the payoffs are safety whereas she would choose regular in-classroom if the payoffs are the amount of learning. This result stresses that leaders have to explain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to their constituents.